여기서 초 다중백업은 단순한 2,3중 백업을 넘어서 5중 이상의 백업을 의미합니다.

워너크라이에 이어서 페티야 라는 랜섬웨어가 퍼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1달전에는 안전할것 같은 idc가 랜섬웨어에 감염됬습니다.

이얘기는 이제 어떤 저장소 또는 장치도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의미 입니다.

대신 우리는 그만큼 더 백업을 강화하면 완벽하진 않아도 완벽에 가깝게 나마 안전한 백업이 될것입니다.

이것은 이미 자주 듣는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으로 증명할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기술도 일종의 초다중 백업기술 입니다.

모든 거래내역이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컴퓨터마다 저장됩니다.

만일 거래내역을 조작하려면 거래내역이 있는 모든 컴퓨터를 해킹해야 합니다만 불가능에 가깝죠

저는 백업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백업본 한두개가 랜섬웨어에 감염된다 해도 나머지중 하나라도 살아있으면 복구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하루에 3번씩 전부다른 호스팅의 5대 서버에 동시저장 하고 있습니다.

조금 번거롭고 비용적인 부분에서 고민할수 있지만

정말 데이터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려면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돈만있으면 ㅜ
  • Lv37

    한 군데가 털렸을 때 모두 다 털릴 수 있다면 백업이 5개든 10개든 소용없습니다. 블록체인과 달리 특정인이나 특정업체에서 모두 관리하는 백업은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이 생기기 쉬우니까요.

     

    예 1) 해외 출장을 다녀오느라고 랜섬웨어에 감염된 후 사흘이 지나도록 몰랐어요. 그래서 지난 사흘 동안은 모두 감염된 파일을 백업해 버렸고, 그 전에 백업한 것은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 자동으로 지우고 있었어요. (백업은 꽤 오랫동안 보존해야 합니다.)

     

    예 2) 모든 백업서버의 FTP 계정 아이디와 비번을 파일질라에 저장해 놓았는데, 악성코드가 파일질라 설정파일을 긁어가서 백업서버까지 모두 감염시키거나 삭제해 버렸어요. (가장 취약한 것은 언제나 윈도우 PC입니다.)

     

    예 3) 클라우드 업체에서 서버 여러 개를 임대하여 일부는 실서버, 일부는 백업서버로 쓰고 있었는데, 업체가 털려서 모든 서버가 삭제되었어요. (실제로 얼마 전 네덜란드에서 회사에 앙심을 품은 전직 서버관리자가 모든 서버를 지워버린 사건이 있었습니다. 여기도 서버 비번을 엑셀 파일에 넣어서 돌려봤나보죠...)

     

    예 4) 홈서버를 외장하드 여러 개에 각각 백업하고 있었는데, 집에 도둑이 들어서 홈서버와 외장하드를 몽땅 들고 튀었어요. (화재나 홍수 등의 재해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건물 내에 있는 것은 백업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지진이 잦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IT 기업들은 수천 킬로 떨어진 동북부에 백업을 보관하기도 해요.)

     

    물론 이런 구더기가 무서워서 장을 못 담그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2~3개 이상의 백업을 유지할 때는 괜히 돈만 버리는 게 아닌지, 아니면 실제로 최악의 상황이 닥쳤을 때도 백업이 살아남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 따져보는 게 좋아요. 2개의 백업을 동시에 털 수 있는 해커라면 비슷한 수법으로 5개도 털 수 있을지 모르니까요. 똑같은 백업을 여러 군데 저장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백업 기법 자체를 다양하게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 Lv37 ?
    감사합니다
  • Lv5
    한가지 더 느낀 점은, 백업만 하는것이 다는 아닌것 같습니다.
    백업한 것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실제로 정기적으로 어딘가에 복구 작업도 해보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 ?
    저는 SSH에서 백업, 압축하고, 파일질라, 외장하드 2대 (암호), 이렇게 보관하고 있네요.
    그렇지만 너무 불안하네요. ㅠ.ㅠ
  • ?
    저는 그래서 서버에 크론잡 걸고 외부서버로도 백업해놨습니다ㅎ
  • ?
    배포해주셨던 것 여전히 전 안돼요.
  • ?
    문의주시면 도와드릴수 있는데 안타깝네요
  • ?
    문의했는데요. 오픈 카톡 안 한다고 말씀드렸답니다.^^
  • ?
    ㅠㅠ 오픈챗 말곤 문의받을 방법이
  • ?
    일단 새로 수동백업 방식 나왔습니다.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 ?
    흠?
  • ?
    확인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