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질문 글?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토픽 게시판에 남겨보는데요

 

보통은 구글 애드센스 많이들 사용하시는 걸로 아는데

 

애드핏? 등 여러가지가 더 있는 걸로 아는데

 

주로 어떤걸로 배너 광고를 달아서 수익을 내시는지???

 

애드센스가 제일 쓸만한가해서요 ㅎ

  • Lv5
    Pc 사이드랑 최하단 광고는 cpm이 잘 나오는 애드핏
    나머지는 전부 애드센스욤
  • Lv5 Lv6
    cpm이 뭐죠??
  • Lv6 ?
    코스트 퍼 밀(Cost per mille)은 CPM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광고 분야의 측정 단위 중 하나이다. 다른 말로 1천 뷰 당 비용, 1천 뷰 당 지불, 노출 당 지불, cost ‰, CPT라고도 한다. 라틴어 단어 mille는 1천을 뜻한다.

    라디오, 텔레비전, 신문, 잡지, 온라인 광고는 광고 소비자 1천 명 당 가격 단위로 구매되기도 하는데, 이때 코스트 퍼 밀이 쓰인다.

    코스트 퍼 밀은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대중매체에 의해 전파되는 광고의 상대적인 가격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척도이기도 하다. 절대적인 가격 대신, CPM은 광고의 1000 뷰 당 가격을 표현해준다.

    CPM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광고를 유지하는 데 1500만 원.
    광고를 본 사용자는 240만 명.
    CP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CPM = (1500만 x 1000)/240만 = 6250원
    혹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CPM = 1500만 / (240만/1000) = 6250원
    광고 소비자 수와 예상 CPM을 알 경우 두 번째 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