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XE3에서 내세우고 있는 논리

'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양성) -> 개발자가 많아짐 -> 플러그인(모듈,애드온 같은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됨 -> 사용자가 많아짐'

 

결국엔 개발자가 많아져야 사용자가 많아진다는 얘기입니다. (개발자가 먼저!)

즉,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많이 없어서 사용자들도 없다(안 들어온다) 이겁니다.

 

이 때문에 'XE 오픈 세미나'라고 해서 XE3 개발에 대한 오프라인 강좌를 많이 열고 있죠.

 

제가 생각하고 있는 논리

'사용자가 많아짐 -> 사용자중에서 개발자가 생겨남 -> 플러그인이 많이 개발됨'

 

우선 사용자가 많아져야 개발자도 생겨나고, 그 개발자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도 많아진다고 봅니다. (사용자가 먼저!)

그리고 사용자가 많아져야 개발할 맛이 있어서요.

 

초창기 제로보드를 생각해보면 이게 맞는 것 같은데요. 물론 그때보다 환경이 많이 달라지긴 했지만요.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시나요?

  • ?
    저는 '사용자가 많아짐 -> 세부적인 기능을 원하는/돈을 쓰려는 사람이 늘어남 -> 시장이 커짐 -> 개발자가 유입됨'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ㅋㅋ
  • ? Lv15
    요즘은 '돈을 쓰려는 사람이 늘어남'이 정답일듯ㅋㅋ
  • Lv12
    사용자 많아짐 선행이 되려면 누군가 사비를 들여서 코어를 만들어야 할것 같아요. 그게 아니면 극소수의 몇몇이 취미생활로 코어를 만들때 무리가 따를 듯요. 마일스톤도 힘들어 질테고....
  • Lv12 Lv15

    투자를 받아, 안정적인 프로젝트가 이어진다는 전제하에...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 Lv12 Lv37
    라이믹스 마일스톤이 자꾸 밀리고 있긴 합니다 ㅠ
  • 전 개발자 우선 개발자가 만드는게 즐거워야 플러그인 같은 좋은 모듈이 많이 만들어 질것이라고 생각되고 따라서 사용자도 늘어 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닭이냐 알이냐의 문제겠지만 ...아무래도 개발자들이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듭니다.
  • Lv15
    네. 하지만 전 어쨌던 당장 사용하려는 사람이 많이 있어야 즐겁게 개발하는 쪽이라...
  • Lv24
    다필요없숴!! 그냥 라이믹스까세요!! ㅋㅋㅋ
  • Lv24 Lv15
    정답!ㅋㅋㅋㅋ
  • Lv12
    XE 라던가 라이믹스라던가 아무튼 코드가 어렵지요. 웹디하시는 분들이 XE 개발을 하시는게 쉽지는 않을듯요. 그렇다면 대안으로 웹디 하시는 분들을 레벨업 시켜 드려야 하는데 핵심은 유저중심의 질문답변 게시판 활성화 입니다. XE 공홈에도 예전에 잠시 지식인같은게 있었는데 사라졌지요. XE Town 에 포인트 활성화를 위한 지식인 질문답변 게시판을 건의합니다. 초보 질문이면 어때요, 내공이 걸려 있는걸.... 냠냠 맛있는 사냥감이지요.
  • Lv12
    오 좋은 생각입니다 ...지식인 포인트 활용
  • Lv12 Lv15
    네. 간단하게 포인트를 걸 수 있도록 추가해보겠습니다..ㅎㅎ
  • XE ,지방순회 세미나 좀 했줬으면 좋겠어요 ...한동안 그렇게 하시다 요즘은 도통 그런 소식이 없네요 ...
  • Lv8
    양쪽 다 수긍되는 논리라서.. ㅎ

    개인적으로는 코노리님 생각에 조금 더 마음이 가고..
    사용자가 늘고, 시장수요가 생기면 개발자들 오지말라고해도 올꺼라고 생각합니다..
    사용자한테 어필되는 플러그인 역시 사용자(겸 개발자)가 제일 잘 만드는거 같다고 생각하기도하고요.

    다만, XE3는 어떤지모르지만, XE1때를 비춰보면 문서화가 제대로 안되어있다는 비판이 많았던만큼
    오프라인교육만큼 문서화에도 많은 신경을 쓰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개발자분들은 영어로된 문서만 보시고도 뚝딱뚝딱 잘 만드시니까....
  • Lv37

    제가 생각하는 것은 양쪽의 절충안쯤 되겠네요.

     

    1. 사용자가 많아짐

    2. 사용자 중에서 개발이나 디자인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늘어남

    3. 그런 사람들을 돕는 (개발자, 디자이너 양성) 프로그램을 개설함

    4.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많아짐

    5. 좋은 프로그램과 디자인이 많이 만들어짐

    6. 사용자가 더 많아짐

    7. 다시 1번으로 돌아가서 선순환

     

    네이버에서 3번부터 시작하고 싶어하는 이유가 이해는 됩니다. 일반인이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판단하는 거죠. 개발을 배우려는 사람들도 제로보드 시절처럼 사용자에서 자연스럽게 레벨업한 경우보다는, 처음부터 프로그래밍을 직업으로 선택한 경우가 더 많을 거라고 판단할 테고요. 현실의 통계를 보면 이게 아마 맞을 겁니다.

     

    문제는 이런 현실을 만들어낸 주범 중 하나가 바로 네이버라는 겁니다. 대형포털의 폐쇄적인 카페와 블로그 서비스가 얼마나 많은 독립 홈페이지를 말려죽였는지요? 지금도 네이버는 자기네 울타리 바깥의 웹문서 검색 기능이 10여년 전 구글보다 못한 수준입니다. 여기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나 책임감은 온데간데없고 자기들이 만들어 놓은 현실에 적응해야 한다는 소리나 하고 있으니 한심하게 보이는 거죠.

     

    현실에 맞는 것과 옳은 것은 다릅니다.

  • ? Lv5
    저는 코노리님 말에 공감하내요 : ) xe측에서 제시하는 것은 너무 억지스러운면이 많은것 같습니다.
  • ?
    하지만 저는 사용자가 늘려면 뭔가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그누보드, 워드프레스, 기존 xe등 예전과 다르게 선택지가 많은데 굳이 개발되어있는 기능이 적은 툴을 사용하려 할까요..
  • Lv16

    원래 수요가 있어야 공급이 생기는 건데.. 아주 간단한 경제 논리입니다.

    이걸 잘못 보는 사람들이 꽤 있더라구요

    최근 성우논란으로 터진 웹툰계에서도 같은 논리를 펼치더라구요..

     

    1469921006853.jpg

     

     

  • Lv16 Lv37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수요자와 공급자가 분명히 나뉘어 있지만, CMS는 수요자가 실력을 키워 공급자가 되기도 하고 공급자들이 또다른 수요자가 되기도 하는 등 특이한 시장 구조라서, 딱 잘라 말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걸 분명히 구분해서 수요자는 소비만 하고 공급자는 생산만 하는 경직된 구조로 고착화시키려는 것이 XE3 개발팀의 의도인 것 같고요.
  • Lv37 Lv16
    물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경우 공급이 우선 이긴 합니다만~ 결국 수요가 없으면 없어지기 때문에,
    결국 시장 경제에 적용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결과적으로 마지막에 언급하신 부분은 공감합니다!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요런거죠.
    근데 확실한건 개발자 아무리 양성해봤자 일거리 없으면 다 떠납니다.
    돈벌이 안되는데 누가 남아있겠습니까?
  • 닭이냐 달걀이냐 문제에서 전 닭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부모없이 자식이 태어나지는 못하죠? 설마 지구 생성시대 우주탄생 초까지 간다면야 ... 따라서 개발자가 많아야 뭐든 해볼수 있습니다. 일단 다다익선이라고 개발자가 많아야 이런것도 만들수 있구나 하면서 수요을 창출 할수 있다고 봅니다.
  • 참고로 공급이 적으면 모듈 플러그인 가격이 상승하고 자연히 수요가 줄어듭니다. 그뒤는 뻔하죠!!!
  • Lv9
    두가지가 다 맞다고 말을 해야하는데 둘다 틀렸다고 말하는 심정 ㅋ..
    선형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기진곰님 말처럼 순환이기 때문이죠.
    출발을 "개발자가 많아짐"으로 할 것인가 "사용자가 많아짐"으로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자기중심적 사고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xe3개발팀 입장에서는 xe3사용자를 많게 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어떻게 하면 xe3사용자를 많게 할 것이가를 고민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많아짐"을 맨 마지막에 넣은 것이고,
    서드파티 개발자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많아야 플러그인을 개발할 가치가 있으니 맨 처음에 넣을 수 밖에 없죠.

    그러나 코노리님의견에 찬성한다해도 캡틴님 의견처럼 "사용자가 많아짐" 앞에 무언가 있어야 하고,
    반대로 xe3개발팀 논리에 수긍한다 해도 "개발자가 많아짐" 앞에 무언가 있어야 합니다.

    현단계에서 수요 공급이라는 용어보다는 경제성이라는 용어 사용이 오히려 더 적합해 보입니다.
    사용자들이 여타 cms중에서 xe3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지
    개발자들이 다른 cms중에서 xe3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