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테라당 블록 스토리지가 오브젝트 스토리지보다 몇배나 비싸서

기존 호스팅에 스토리지만 추가하면 되니까
오브젝트 스토리지 인스턴스로 추가하려고 하는데요


해외 호스팅 상담사가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비추천한다면서,

몇 배나 비싼 블록 스토리지로 사용하라고 유도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60WORaPRBA

그래서 알아봤더니

여기 유튜브 보면, 오브젝트 스토리지가

웹서비스, 웹호스팅, 나스 대안으로 나온거고, 블록스토리지보다 속도도 차이 없습니다.

 

커뮤니티 운영 정도면 오브젝트 스토리지 사용해도 괜찮죠?

 


2. 여기 회원분들 중에서,

커뮤니티 같은 웹서비스 운영시

오브젝트 스토리지로 인스턴스 추가 사용해도, 이미지 로딩 오래 안걸리나요?

 

참고로 호스팅 리전과 호스팅은 좋은 사양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가 인스턴스 스토리지만 저렴한걸로 사용하려고요

 

  • Lv37

    속도 문제가 아니라 아예 다른 기능입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하드디스크처럼 포맷해서 자유롭게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마운트 경로만 잘 맞춰 주면 기존의 프로그램을 전혀 수정할 필요가 없지요.

    만약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다른 선택지는 아예 없는 겁니다. ㅠㅠ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특정한 API를 통해서만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는 일종의 웹하드 같은 물건입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연동하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연동해야 하죠.

    업로드된 사진의 썸네일을 생성하는 등, 하드디스크나 블록 스토리지에서는 너무나 당연하게 쓸 수 있는 기능들도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구현하려면 일일이 API 연동 작업이 필요합니다.

    1GB당 단가 조금 아끼자고 개발비 수백만원을 꼬라박고도 안정성이 떨어지는 불상사가 일어나곤 하지요.

    어떤 식으로 연동하는지에 따라 속도 차이도 많이 날 수 있습니다.

    속도는 물론, API 호출 요금 면에서도 얼마나 효율적으로 구현했느냐에 따라 굉장히 많은 차이가 납니다.

    즉, 서비스 자체의 속도보다 개발자의 실력에 좌우되는 부분이 훨씬 큽니다.

    단순히 이게 되는지 안 되는지 고민하는 개발자라면 곤란합니다.

    당연히 되는데, 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지 고민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그런 거 없습니다. 그냥 연결만 할 줄 알면 제 속도가 나오죠.

     

    체감상의 속도 차이가 전혀 없도록 만들 수도 있습니다.

    서버단에서 캐싱하든 CDN을 사용하든, 중간에 한 차례 캐싱을 끼워넣으면 됩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파일을 뿌려주는 짓은... 트래픽 요금 때문에라도 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마존 EFS처럼 블록 스토리지도, 오브젝트 스토리지도 아니지만

    하드디스크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한 용량만큼만 과금되는 특이한 서비스도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커뮤니티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EBS나 S3보다 EFS가 넘사벽으로 편리합니다.

     

    물론 그냥 물리적인 dedicated server에 물리적인 디스크를 달아서 쓰는 것이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니,

    모든 가격과 속도는 이것을 기준으로 비교해야 현실 감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괜히 호스팅 업체의 상술에 넘어가서 개발비 왕창 깨지고, 서버비도 수백만원씩 낭비하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 ? Lv2

    1. 잡은 물고기한테 싼걸 추천해줄린 없겠죠.
    2. aws s3이나 cloudflare r2의 r2.dev 도메인으로 연결되는 파일들 찾아보시면 어느정도 속도인지 느껴집니다.

    그것과 별개로 라이믹스에서는 현재 S3과 같은 Object Storage 파일 관리까지 구현된경우가 상당히 드물며, 운영진의 관리 능력이 없다면 도입하는게 오히려 안좋은 결과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