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xetown.com/questions/1151140
댓글의 조언대로 일단 시작부터 해보기로 했습니다.
자료화면 많고 두꺼운 책 2개를(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리눅스 서버관리바이블)를 대출해서 책에서 시키는대로 가상머신으로 실습해보았습니다.
지금까지 vmware로 우분투리눅스 설치, 리눅스 조작법, 중요한 명령어, apm설치 등을 실습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책 후반부로 갈수록 다루는 대부분의 주제가 지금의 저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내용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일단 필요해 보이는 것들만 배우고 나머지는 나중에 필요해지면 다시 찾아볼 생각입니다.
아래의 정리가 제대로 된 것인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배워둬야 할 것이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목표
아마존 라이트세일에서 vps(리눅스)로 웹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이를 위해서 필요한 서버 관리/운영 지식 갖추기
배워야 할 것
NAGIOS : 모니터링제공프로그램 -> 관리에 필수
LOG서버 : 발생하는 정보들을 로그로 관리 ->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제공
BACULA : 백업과 복구 서비스 ->필수
애매해 보이는 것
KERBEROS : 보안 프로토콜 제공 -> SSL인증서 같은 인증서비스와 겹치니 생략해도 OK??
패스
원격관리, NFS/삼바 서버, DHCP서버, PXE서버, NTP, ISCSI -> 회사내부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필요한 지식
메일서버, 네임서버, FTP서버, 프록시서버 ->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서버를 구축할 때 필요한 지식
개인서버에 kerberos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SSL과 겹치는 것은 전혀 아닙니다. 보안과 관련된 기술들은 자세히 공부하지는 않더라도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인증"이라도 누구에게 무엇을 인증하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얘기가 되니까요.
nagios와 bacula는 수많은 모니터링 및 백업 툴들 가운데 2개일 뿐이고, 다른 툴들보다 특별히 우수하다는 보장도 없으며 (그렇다고 딸리는 것도 아닙니다) 개인의 취향이나 구체적인 필요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반드시 그 툴을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무엇을 어떻게 모니터링하고 백업하는 것이 좋은지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는 데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로그도 마찬가지로, 로그 서버를 꼭 따로 둘 필요는 없지만 어떤 로그가 어디에 저장되는지는 알아두어야 합니다. 툴 하나를 배워놓으면 그 툴밖에 못 쓰지만, 개념을 익히면 비슷한 개념으로 돌아가는 모든 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