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dit은 미국에게 가장 크게 활성화된 커뮤니티 사이트죠.

또한 그 시스템은 수많은 다른 사이트에 영향과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레딧은 특이하게도 텍스트와 이미지가 섞인 글을 올리질 못합니다.

이미지/비디오만 올리던가

아니면 텍스트로만 된 글을 올리던가 둘 중의 하나인데

이건 모바일이 도입되기 이전 옛날부터 그랬습니다.

그리고 그대신 제목 입력란이 되게 깁니다.

이미지/비디오를 올리는 경우 텍스트를 못올리다보니까

제목에 상세한 내용을 입력하게 되고 곧 제목이 요약된

내용이나 마찬가지인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요즘은 디자인이 달라져서 그런 느낌이 안들지만

옛날 디자인이 바뀌기 전의 레딧은 이미지 썸네일은 크기가 작고

화면 가득히 제목만 엄청 길게 좌악 나오기 때문에 정말 특이한 느낌이었습니다.

듣기로는 초창기 레딧은 운영비 때문에 엄청 고생을 했다고 합니다.

트래픽 감당을 할 수가 없었다고.

그래서 이미지가 섞인 긴 글은 못올리게 한거고 이미지도 웬만하면 외부링크를 유도한거라고 합니다.

또한 제 생각엔 이런 효과도 의도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 게시판처럼 제목과 내용이 분리되는 경우 

내용을 보기 위해선 클릭해서 들어가야 하고 다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트래픽과 서버 부담이 상당합니다.

그러므로 이때 실패확률을 낮춰야 합니다.

제목만 보고 들어갔는데 안에는 별볼일 없더라 이런 확률을 낮춰야 하는거죠.

우리나라 게시판에서는 아주 흔한 일입니다.

[제곧내]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냉무] 내용 없음

이런게 난무하는게 한국식 게시판 아니겠습니까?

이용자가 많아지면 이정도 글은 없어지지만 그래도 실속없는 글은 널렸죠.

그래서 보조적인 정보로 댓글갯수, 추천수 등의 정보를 참고하는거지만 한계는 있죠.

이런 면에서 레딧은 굉장히 효율적입니다.

목록만 봐도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파악이 가능합니다.

클릭을 해서 들어가는건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입니다.

1) 댓글을 보거나 쓰고 싶어서

2) 이미지를 좀더 크게 보고 싶어서 또는 텍스트 글인 경우엔 텍스트의 나머지를 읽고 싶어서

데스크탑에서도 효율적이었지만 특히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페이스북만 해도 클릭했다 허탕치는 경우가 꽤 되는데..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그런 일이 거의 발생안한다는건 뭐 축복이죠.

뭐 그외에도 서브레딧마다 만들 수 있는 위키나 FAQ등도 그렇고

시스템 면에선 가장 앞서나가는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겠지요.

디시인사이드가 많이 따라하려고 노력중이고

마이너 갤러리니 미니 갤러리같은 걸로 서브레딧을 베끼고 있죠.

다만 디시인사이드의 고유문화가 여기에 별로 잘 어울리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디시는 게시판을 거의 트위터 수준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디시에서 트위터보다 더 긴 내용의 본문을 갖는 글의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디시를 보면 한국식 게시판 시스템의 최악의 사용예를 보고 있는 것 같은 기분도 들죠..

이럴거면 왜 제목을 따로 입력하라고 할까..

왜 제목만 모아서 보여주는걸까...

레딧은 초창기 시스템을 이렇게 결정한 것도 훌륭했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유저들이 거기에 잘 적응한게 훌륭했다고 봅니다.

지금 와서 레딧처럼 우리는 이미지만 올리거나 텍스트만 올려야 하고

제목에다가 내용 잘 요약해서 써야 하고 뭐 이런 식이면 아무도 불편해서

안쓰려고 하지 않을까요..?

잘 디자인되고 의도된 제약은 컨텐츠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가장 훌륭한 예가

레딧이라고 봅니다.

음.. 저도 비슷한 류의 제약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데요.

예를 들면 댓글을 달때 캐리지 리턴을 2개까지만 허용하는겁니다.

즉 최대 3줄 입력이죠.

음.. 3줄이라기보단 3문장일까요? 하여튼 엔터를 쳐서 줄나눔을 안하는 이상 한줄로 치는겁니다.

길이로 제한을 거는건 비효율적이라고 봅니다.

줄수로 제한을 걸면 한줄에 얼마나 길게 쓰느냐에 따라서 충분히 길게도 쓸 수 있고 짧게도 쓸 수 있죠.

하지만 대충 쓰면 너무 짧은게 3줄입니다.

즉 길게 쓰고 싶으면 좀더 신경써서 3줄로 요약해봐라

라는게 이 시스템의 숨겨진 의도입니다.

댓글 말싸움을 줄이기 위한 용도죠.

어떻게 생각하세요? 

  • profile
    굉장히 멋진 분석입니다.
  • profile

    지금은 이미지/동영상 또는 텍스트를 올릴 수 있지만 예전에는 그것마저 없었습니다.

    외부 사이트 링크를 걸거나, 텍스트를 올리거나, 둘 중 하나였지요.

    이미지 하나를 올리려고 해도 반드시 외부 사이트에 올리고 링크를 걸어야 했습니다.

    태생이 "소셜 뉴스" 개념이었기 때문입니다. 저작권 문제를 막기 위해 무조건 원본 기사를 링크하도록 했지요.

    덕분에 트래픽 절감 효과도 있었겠지만, 트래픽 때문에 막은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이런 성격의 사이트였습니다.

    digg나 slashdot 같은 소셜 뉴스 사이트들 모두 이미지 첨부라는 개념이 없었던 것은 마찬가지이니,

    아마 처음부터 고려하지도 않았을 거예요.

     

    그러나 뉴스보다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미지 업로드가 아쉽게 되었고, 그래서 레딧 유저 중 한 사람이 imgur라는 서비스를 만듭니다.

    그 후로 오랫동안 레딧에 이미지를 올리려면 무조건 imgur를 쓰는 거야! 라는 관례가 정착되었고

    레딧과 imgur 사이에 서로 연동되는 기능도 점점 강화됩니다.

     

    그러던 중 imgur는 어마어마한 트래픽 비용 때문에 자체 광고, 자체 회원기능 등

    이미지 업로드라는 본연의 기능과 무관한 쪽으로 확장하기 시작합니다.

    유저들 사이에 또다시 불만이 고조될 무렵, 레딧이 마침내 자체 업로드 기능을 선보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형태가 된 것입니다.

     

    디씨는 업로드라도 되죠. 레딧은 10년이 넘도록 그것조차 없었습니다.

    초창기 레딧의 형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HN은 아직도 업로드 기능이 없습니다. ㅎㅎ

     

    게다가 서양식 포럼은 처음부터 제목과 내용의 구분이 희박합니다.

    제목은 처음 토픽을 개설하는 사람만 입력하면 되고,

    그 밑에 달리는 답글도 댓글도 아닌 어정쩡한 포스트들은 제목을 별도로 쓰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렇다고 제목을 못 쓰는 것도 아니예요.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데 안 쓸 뿐...)

    (레딧은 대댓글이라도 되죠... 포럼은 그런 거 없습니다ㅡ.ㅡ)

    이런 형태에 익숙한 사용자들이다 보니 제목 or 내용만 있는 레딧 시스템도 딱히 아쉽지 않았을 거예요.

     

    "제곧내", "냉무", 초창기 디씨에서 사진을 안 올리면 짤리니까 궁여지책으로 붙여넣은 "짤방" 등

    한국식 게시판에서 만들어진 독특한 문화도 나름 재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에서는 제목만 보이고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서 반전을 노릴 수도 있지요.

    레딧에서도 썸네일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디테일을 이용해서 똑같은 장난을 치는 예가 많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무엇이 우수하네 아니네 토론을 해볼 수 있겠지만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니까요. 어떤 시스템이든 장난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ㅋㅋㅋ

  • profile
    반대로 실속이 넘치는(?) 강좌류의 게시판은 레딧 시스템이 어울리지 않습니다.
    글 제목만으로 정리되어있는 편이 목록을 봤을때 일목요연하지요.

    이야기 꺼리를 하나 던져주고 (사진/동영상/기사) 댓글 위주로 얘기할 때 레딧 장점이 살아납니다.
    레딧 시스템을 많은 부분 차용한 게시판 스킨을 구상해서 곧 제작(의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길드 모듈을 커스텀해서 같이 잘 활용하면 어느 정도 비슷한 사용자 경험이 나올 것 같습니다.

    한국 유저들에게는 잘 안먹힐 거라는 의견들도 대세지만요 ㅎㅎ
  • profile profile
    레딧 시스템의 많은 부분을 차용한 게시판 스킨 제작은 완료 됐나요?
    구입하고 싶습니다, 길드 모듈 커스텀해서 같이 잘 쓰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profile profile
    아니요~ 그 게시판 스킨은 현재 진행 중인 개발 끝나고, 다음이나 다다음으로 진행될 예정이에요~
    그리고 저희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하기 때문에 범용으로 사용가능 할지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