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은 워낙 자본이 빵빵하고 규모를 키울수 있어서 예외입니다. 그래서 잘먹 잘살고 있죠.
그런데 오픈마켓 사업을 잘 뜯어보시면 ...
누군가는 손해를 봐야 한다는 점 입니다.
5만원짜리를 직접판매하면 5만원에 판매해야 하지만
한단계를 거치게 되면 거기서 비용이 발행하기에 이 비용을 누군가는 감당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5만5천원이 되어서 구매자가 손해를 보거나
제품 가격은 5만원으로 유지하면서 비용은 판매자가 감내해야해서 판매자(오픈마켓이 아닙니다.)가 손해를 보거나
둘중에 하나입니다.
이건 변할 수 없는 함수입니다.
*원래 오픈마켓의 순기능 원래 목적은 판매루트가 전혀 없는 사람들이 와서 올려놓고 팔아라 였지만... 현재 오픈마켓은 그게 아니라는게 함정입니다.
혼자서 5만원짜리 2개 파느니 오픈마켓에서 4만원짜리 3개 파는 게 이익이 아니겠느냐? 라는 논리도 있지요.
물건을 구입해서 쌓아 두고 약간의 마진을 붙여 되파는 업종이라면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사본을 만드는 비용이 별로 들지 않는 소프트웨어라면 은근히 매력이 있어요.
물론 사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지원 인력이 많이 필요하니 완전 공짜는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