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통신사의 문제인지.. 아니면 원래 모든 공통사의 문제인지를 생각해보는 글입니다.
항상 대만에서 여행하면서 XEtown, github, slack 을 모두 인터넷 브라우저로 확인하거나 열심히 접속하는데요.
이 곳들의 공통점이 하나 있었어요...
https 접속... (SSL접속이라고 하죠..)
첫날엔 입국하는날 잠을 잘 못자버려서 대만에 입국하자마자 바로 호텔에서 뻗어 잤어요. (담날 아침에 일어난..)
그래서 두째날부터 xetown 이랑 깃허브랑 자주자주 휴대폰으로도 접속해보고 여러가지 사이트들을 많이 둘러봤죠.
한가지 문제가 공통적으로 일어났는데요, 첫 접속할 때 네크워크 오류가 항상 떴어요.
처음 접속하는 도메인이나 아이피의 경우 해외망+SSL일 경우 네크워크오류가 항상뜨더라구요.
이게 한 통신사의 문제인지 아니면 모든 대만 통신사가 다 이런지는 인지 못했지만.. 일딴 제가 입국하자마자 바로 유심칩을 살 수 있는 곳에서 유심칩 사느라.. ㅠㅠ
입국 수속하기전에 이미 유심칩을 팔고 있는곳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더라구요.
그래서 거기에서 구입한건데 이 통신사의 문제인것으로 보여져요.
그래서 깨달은게.. 제 사이트가 라소백이라는 친구의 팬 커뮤니티라서 대만에서 접속할 수 있는 검색 여지도 항상 남겨두고 접속을 하도록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https 접속 + 대만기준으로 해외망의 두가지 요건을 다 가지고 있었어요.
그런데 여기에서 재밌는건, 유튜브는 https 접속인데 멀쩡합니다.. (와서 끊겨본적이 한번도 없었음)
보시면 왼쪽은 우리나라에서 접속한 유튜브이고, 오른쪽은 대만에 있는 제 노트북에서 접속한 유튜브입니다.
두개의 유튜브 로고를 자세히 보시면 KR, TW이가 잘 붙어 있죠?
이렇게 페이스북, 유튜브의 경우 자체적으로 서버를 해당 국내에 지원하고 있는 것 으로 보였어요. (참고로 red상품 이용중인데 이건 한국에서만 나타나네요. 둘다 같은 계정인데.)
아무튼 제가 확인해본 바로는 이렇게 CDN서비스를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플레어 같은 서비스가 아니라면 해외에서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때 아무래도 접속 루트를 어떻게 만드느냐를 잘 구상해야할 것 같아요.
오늘 마지막날이네요..
좋은 하루 되시고. 그냥 여행하면서 인터넷 관련 주절주절이였어요 ㅋㅋㅋ..
내일 한국에서 인사드릴꼐요 ~~~
글적고나서 알았는데..
대만에 있던 한국에 있던 유튜브에서 콘텐츠 위치를 조작가능하네요 ㅋ
하지만 RED구입항목은 한국에서만 뜬답니다.
(아직 대만에서는 유튜브Red가 정상적으로 팔고 있지 않는것 같습니다. 제 계정이 이미 구입되어있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