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여행 다니는걸 좋아해서 개발한 모듈이..

수수료를 줄여 낮은 가격에 판매를 하기 위해서 여름 휴가 반납하고 PG 신청까지 .. 멀리도 왔네요..

예약 모듈 데모 버전도 라이센스 안내 및 기타 등등을 강화해서 다시 배포하려합니다.

 

혹시 유료 판매 애드온/모듈/레이아웃등 저작권 등록 사례가 있을까요?
 

  • Lv19
    저작권은 만드는 순간 발생하므로 별도로 등록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즉 허용 범위 이상으로 사용한 경우 저작권법 위반으로 신고할 수 있게 됩니다.
  • Lv19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도 비슷하게나마 그렇게 이해를 하고는 있었습니다

    https://www.spc.or.kr/sam/sam09_03.asp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이 계실까해서 글 올려 보았습니다^^
  • Lv37

    등록하면 나중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좀더 유리하다고는 하는데... 대부분의 개인 개발자들에게는 그냥 돈만 버리는 게 아닐까 싶어요.

  • Lv37

    분쟁을 겪어 보니(대부분 해결 됬지만..) 생각이 나더라구요 쩝..
    내용 증명 보낼때 저런 곳 등록한 서류라도 한장 보내면 상대방에게 더 강력하게(?) 느껴질거라 생각이 되기도 할태고.. 후회 되더군요.
    대행이 25만.. 직접 처리하는건 얼마 하지 않던데 귀찮쵸.

  • ?

    제가 특허법원에 몇년있었는데 개인vs기업 형태로 특허분쟁이 몇번...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다면 해야죠~

    특허 등록번호를 가지고 상대방에게 금지요청 액션을 취하기에도 좋구요
    (어차피 대기업한테는 씨알도 안먹힐테지만요 ㅎㅎㅎ)

  • ?
    등록 해보려고 준비중입니다.
    감사합니다(__)
  • Lv12
    근데 코드의 대부분이 오픈소스인 XE를 이용하고 있지 않나요? 그 상태에서 저작권이 인정되나요? GPL 이나 LGPL 이 저작권으로 인정되는 케이스가 있나요?
  • Lv12
    저도 그 부분이 걸리더군요.
    그래서 등록된 사례가 있나하고 글을 올려 봤습니다.
  • ? Lv3
    저는 괜히 저작권분쟁에 휩쓸리기 싫어서 애매하면 무조건 삽니다.
    깍아서라도 부탁해서라도 사는편임 ㅋㅋㅋ
    불안한게 싫어서요.
    저작권으로 요즘 신고넣으면 경찰이 빠르게 출동합니다.
  • Lv4
    한국은 미국과 달리 무식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무식한 방법은 즉, 디자인이나 소설, 영화, 각종 창작성이 있는 것들 등등 을 제작하시는 순간 자신이 저작권자가 됩니다.
  • Lv4
    그래도 예전 보다는 많이 나아졌다고 생각됩니다만, 솔직히 미국 보다는 우리나라가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죠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