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v16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Lv9 소득 증가 -> 소비 증가 -> 기업 생산 증가 -> 기업에 대한 투자 -> 기업 소득 증가 -> 고용 증가 -> 소득 증가
경제 원리적으로 저게 맞는데 요새는 저런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될지 미지수입니다.
미국도 마찬가지로 일본도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일본과 미국처럼 되어가고 있는데..
위에 경제원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통화정책에서 양적완화 M(통화량)을 찍어내는데
문제는 이 통화량이 국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민간은행에 쌓여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경기의 불확실성)
소득 증가 -> 저축( 소비 증가 X ) -> 기업생산 감소 -> 기업에 대한 투자 감소 -> 기업 소득 감소 -> 고용감소 -> 소득 감소
정부의 통화량 증가 -> 민간은행의 대출 제한 (지급 준비율 증가) -> 시장에 돈이 안도는 현상발생 -> 투자 감소 -> 경기침체 -
?
Lv9 실질임금 상승이 경제성장에 유리한가 아닌가는 경제를 모르는 나로서는 그리고 내가 보기로는 경제학자도 정확하게 파악이 안되는거 같더군요.
워낙 이견이 팽팽해서...
그럼 어차피 모르는 길이라면
실질임금 상승으로 많은 이들이 숨통이 트이는 방향으로 가는게 이익이 아닐까 싶습니다.
종놈들이 언제까지 주인님 걱정만 하고 살수는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