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샷 2016-08-09 오후 10.27.19.png

 

그느보두 기반인 커뮤니티에서 보았습니다. gif 파일을 업로드 하면 저런식으로 유투브 처럼 보며주며

gif 최적화 기능이 on 되었다며 표시해 주더군요.  

 

http://dvdprime.donga.com/g2/bbs/board.php?bo_table=comm&wr_id=16570296&page=2

 

  • ?
    일반 접속자에게 저렇게 일일이 설명해줘봐야 별 의미 없습니다. 보여주기식으로 부풀려놓은 것 같은데요.
    $g4[site_title]라고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판매용 플러그인 같습니다.
  • ? ? Lv17
    네. 역시나 그렇군요. 포장이라 생각했습니다.
  • Lv8
    이미지프로세스모듈은 이미지의 가로x세로 크기를 줄이는 방식인걸로 알고 있는데,
    dvdprime의 저 플러그인(?)은 GIF파일을 webm같은 형식으로 변환시켜서 보여주는 방식인거 같습니다.

    webm형식이 압축률이 더 좋아서 크기가 확실히 줄어들기는 하거든요.
    다만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크롬 및 몇몇브라우저들 뿐이라... 대중화되기에 좀 애매한 부분이 있었는데..
    저 플러그인은 아마 익스플로러등에서도 정상적으로 출력될수 있도록하는 기능까지 있는거 같네요.
    (아니면 webm을 지원안하는 브라우저의 경우엔 mp4로 쏴준다거나..)
  • Lv8 ? Lv17
    그렇군요~
  • ?
    (사이즈 유지를 전제조건으로)
    imagik으로 jpeg 압축 => 잘되더군요.
    gif압축 => 잘안됩니다. 프레임별로 분할하고, 그 프레임 별 이미지를 압축해서 다시 합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일단 시간이 너무 오래걸립니다. php excute time을 늘리니 작은 파일은 괜찮은데, 프레임이 긴 gif는 역시 압축하기 힘들더군요. 게다가 압축에 대한 효과도 별로 체감되지 않았습니다.

    webm 변환은 시도해본적이 없는데 그래도 imagik압축보다는 의미가 있을 것 같긴하네요.
  • imgur이나 기타 이미지 전문 웹사이트 중에서는 고용량 gif파일의 최초 노출은 webm으로 보이게 하고, 원본 이미지 확인 등의 절차를 추가로 거쳐야 gif 원본 파일을 볼 수 있더군요. 그리고 서구권 커뮤니티에서는 gif 대신 webm을 많이 쓰기도 하는 걸 보면 트래픽 절감을 포함해서 무언가 이점이 있기는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