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를 Full SSL로 만들어보려고하는데

광고를 달아도 안나오길래 살펴보니

SSL적용이 안된 http라 모조리 블락이 되어버림 ㅠ

 

 

광고회사에 문의전화를 걸어 SSL지원 계획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나 : "SSL안하면 국가에서 벌금때린다고까지 하던데 지원안하세요?"

 

직원 : "개발중이긴 한데 언제라고 확답을 드리진 못할꺼 같습니다."

 

나 : "SSL 의무화가 벌써 몇년전인걸로 알고 있는데..."

 

직원 : "죄송합니다"

 

 

----

 

컴알못 생각으론 광고송출하는 서버에 ssl 설치만 하면 되는거 아닌가 싶은데...

그게 그렇게 오랜개발기간이 걸려야되는건가 싶기도하고...

 

 

  • Lv37

    구글 애드센스는 SSL 지원 됩니다. 그래도 예전에는 SSL을 쓰면 광고수입이 다소 줄어든다고 하더군요.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애드센스가 애초에 그다시 수익률이 높은 편은 아닌데...

     

    다른 광고업체들이 SSL 지원을 안하는 이유는 간단하죠. 안해도 써주니까 안하는 겁니다. 내가 원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업체는 헌신짝처럼 버릴 수 있어야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원활하게 돌아갈 텐데, 사용자들이 알아서 SSL을 포기하고 계속 써주니까 자기네 돈 한 푼이라도 더 쓰기 싫은 거예요.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 Lv37 Lv8
    사이트가 애드센스 적용은 힘든 상황이라..
    구글의 이유를 알수없는 블락(?)같은것도 싫기도하고...

    계속 다른데들도 찾아보면서 알아보는중이긴한데..
    날도 더워지고.. 승질나면... SSL미적용한다고 신고때릴까?하는 생각이 불현듯... ㅋㅋㅋ
  • Lv8 Lv15
    개인정보를 취급하지 않는다면 의무가 아니라서.... 신고해도.... 별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 Lv15 Lv8
    광고송출서버 말고
    회원가입/정보/정산 관련 정보 취급하는 페이지에서도......
  • Lv8 Lv15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페이지만 https적용되어있을수도 있습니다...
    안 되어 있다면 신고하면 계도처리될듯하네요..^^
  • ?
    SSL 적용하는 게 보안에 좋은 것은 사실인데, 정작 일 터지고 나서 뒤늦게서야 대책을 마련하는 게 답답할 뿐입니다.
    더군다나, SSL 인증서는 유료입니다. 영리를 목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하지 않는다면, SSL 인증서 비용은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의무화하라고 하고, 정작 비용은 부담해주지 않으니 짜증날 수도 있겠죠 -_-) 그래서 개인 소규모 웹 사이트에까지 의무화하는 건 좀 무리였다고 생각합니다.
  • ? Lv37

    2016년 현재 SSL 인증서는 Let's Encrypt, StartSSL, WoSign, 클라우드플레어 등을 통해 얼마든지 무료로 구할 수 있습니다. 설치도 무료로 해주는 웹호스팅 업체들이 있고요. 소규모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정말 돈이 없어서 SSL을 못 쓰겠다는 분은 통장 잔고증명 첨부해서 저한테 연락 주세요. 공짜로 사드릴게요.

     

    물론 주소창이 녹색으로 표시되는 EV 인증서는 좀더 비싸지만, 거기까지는 법적인 의무가 아닐뿐더러... 광고업체에서 아무리 비싼 인증서를 발라놔도 실제로 광고가 표시되는 사이트의 주소창 색깔까지 바꿔주지는 못하니까 소용없죠. 광고업체라면 무료인증서로도 충분하단 얘깁니다.

     

    연 매출 수십억, 수백억씩 되는 회사들이 과연 EV 인증서 구입할 비용을 저축하느라 무료 인증서조차 쓰지 못하고 있는 걸까요? ㅋㅋ

  • ? Lv6
    솔직히 제 생각엔 HTML5 등의 표준 기술을 사용하지 않거나 SSL 적용되어있지 않은 광고의 경우는 사용을 안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HTML5 광고를 사용 권장하는 이유는, 저번에 뽐X라는 인터넷 커뮤니티가 플래시 광고에 랜섬웨어가 침투해 사용자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는 면에서 안전하다는겁니다. 또한 SSL 역시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역시나 해당 광고를 제공해주는 업체가 신뢰성 있는지, 관리를 정기적으로 잘 하는 편인지도 확인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보안이란게 언제 구멍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