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에 이어 MS, IBM도 한국에 데이터 센터를 세우는군요.

구글도 들어오지 않을까?

 

웹호스팅, 서버호스팅은 인프라를 제공하는 사업이라면 클라우드는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인프라를 제공하는 사업은 초기 시설투자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자본력이 없으면 진입하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경쟁력 있는 서비스까지 제공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죠.

국내 클라우드 산업이 많이 뒤쳐진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그동안 서버를 구매해서 운영하다가 서버임대로 지금은 클라우드 사용합니다.

사람마다 선택의 기준은 다르겠지만 제 입장에서는 2cpu, 2G memory 정도로 가격이 가장 싼 것입니다.

hdd도 50G정도면 충분합니다.

 

사실 작년에 서버를 4번 옮겼는데 업체 제공 스팩과 기대성능은 다릅니다.

결국 월 지출 비용이 가격이 가장 싼(16$/월) vultr을 이용하는데 여기도 문제가 있습니다.

지난달 국내 서버로 옮길까 해서 이곳 저곳 검토해 보았는데. 만만치 않군요.

국내업체의 가격 정책이 이해못 할 점이 있습니다. 

왜 hdd를 많이주고 가격을 비싸게 하는지 

해외 클라우드가 국내 업체에 비해 저렴한 것은 아닙니다.hdd를 비교해보면

 

성능 대비 가격으로 보면 아마존이 가장 저렴한 것 같군요. 절대 가격은 비싸지만

아마존은 최신세대 cpu를 사용합니다. 지난 세대는 가격이 매우 저렴하죠.

 

국내 업체 중 최신세대 사용하는 것은 없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데스크탑 cpu를 쓰는 곳도 있더군요.

해외도 데스크탑cpu를 사용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곳도 있구요.

조만간 서버를 옮겨야 하는데 마땅한 곳이 없습니다.

글로벌 4개 업체가 다 한국에 들어오면 그때나 옮길 수 있으려나 . . .

 

 

 

 

 

 

 

  • Lv37

    CPU 코어수, RAM 용량 등은 일반 고객들이 감을 잡기가 힘듭니다. 몇 코어가 있어야 내 사이트의 동접수를 감당할 수 있고 RAM은 얼마나 필요한지 전문가가 아니면 모르죠. 그러나 HDD 용량은 초보자라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웹호스팅도 대부분 HDD 용량 위주로 가격을 매기기 때문에 익숙한 척도죠. 그래서 마케팅에 많이 활용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외 클라우드에서는 SSD가 그야말로 기본 중의 기본인데, 국내에는 여전히 HDD 위주의 상품이 많다는 것도 중요한 차이점이죠. SSD는 용량대비 가격이 높기 때문에 많이 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성능을 따져본다면 클라우드 상품을 기획하면서 HDD를 장착한다는 것부터가 에러예요.

     

    CPU는 샌디브릿지 이후 제품이라면 세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구세대는 성능에 비해 전력소비가 많을 뿐이고, 그건 클라우드 고객 입장에서 신경쓸 필요가 없죠. 여러 가지 CPU를 쓰는 Linode 같은 업체에서는 CPU 성능에 따라 VM 배정 갯수를 다르게 하여 실제 각 고객에게 돌아가는 성능에는 차이가 없도록 배려하기도 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코어수와 클럭인데, 국내 업체들은 주어진 코어를 100% 쓸 수 있다고 광고하려다 보니 가격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반면, Vultr는 주어진 코어를 100% 쓸 수 있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하이퍼쓰레딩으로 만들어낸 뻥코어는 기본이고, 그나마 절반을 넘어가면 steal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죠. 성능이 일정하지가 않아요.

  • 제가 최근에 테스트 해본 내용입니다. 코노하, Vultr, 카페24 서버로 테스트 했습니다. 계속 추가하려구용.
    https://www.zzori.net/sreview/449
    Vultr 은 2.4GHz, 3.6GHz 2가지 뽑기가 있는거 같아요. 여러번 생성해서 아직 여유가 있는 서버로 뽑은 것 같습니다.
    혹시 Vultr 의 문제는 어떤것인가요?

  • Lv9
    사이트 내용은 잘읽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는군요.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의 속도는 회선속도가 좌우하죠.
    현재의 기술로, 앞으로도 계속 그렇겠지만 회선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컴퓨터 속도를 따라 잡을 수 없습니다.
    속도만 놓고 보면 국내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여러가지 요건을 감안해서 해외서버를 사용하는 것인데,
    그래도 스팩을 따지는 이유는 제성능을 발휘해야 할 때 제성능을 발휘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vultr 뿐만 아니라 다른 곳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데.
    vultr은 데스크탑cpu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년간 사용하면서 느낀 것인데 5~개월 마다 장애 일어납니다.
    한달정도 느려지다가 한번 다운되고, 그다음 빨라집니다. (5~6개월 주기로)
    1년간 사용하면서 2번 겪었는데 검색해보면 명확합니다. 작년 12월, 지난달에도 한번 다운 되었었습니다.
    사실 큰문제는 아니죠. 바로 복구 됩니다. 2~3분 정도 다운되는 것이니

    사실 세부 스펙은 확인 안하고 core개수와 메모리만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 다반사인데
    세부 스펙을 검토하니 국내에 마땅한 업체가 없어 당분간 vultr 사용하다가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변화가 있으면 그때 옮길지 검토해 볼 생각입니다.
  • Lv9

    답변 감사합니다.
    저는 이용한지 얼마안되서 아직은 문제가 없어서 몰랐던 부분입니다.
    그런 문제가 있군요 ㅠㅠ

     

    국내는 1시간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런게 없어서 테스트 하기가 어렵네요 ㅠㅠ ㅋ

  • Lv8
    작년 9월부터 일어나고 있는 대부분의 해외서버 문제는 서버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통신사의 속도제한에 의한 것입니다. 같은 서버를 평일 낮 3시와 평일 저녁 9시30분에 속도측정해 보세요.
    해외 서버를 국내 서버처럼 쓰는 방법이 있긴합니다. 중계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월 2만원~ 2.5만원으로 안정적인 속도를 얻는 것이죠.
    테스트가 끝나서 관리중인 일부 서비스에 적용해봤는데 확실히 개선이 있네요.
  • Lv8 Lv9

    일부 통신사의 속도제한 문제는 알고 있습니다.
    작년 9월 이전 부터 발생한 문제입니다.
    서버문제는 vultr공지 사항입니다.

     

    블로그 내용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