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처 서울리전에 사이트를 설치하고 이것저것 연습중인데

 

CDN 설정 건드리다 어려워서 포기하고 초기화했습니다.

 

근데 uptrends.com 에서 조회해보니까 도쿄는 0.2~4초대, 다른 먼 나라도 2~3초 안으로 조회되는데

 

딱 서울만 10초대로 엄청 늘어지더라구요

 

 

제가 CDN 관련 설정을 잘못한건가 싶어서 아예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테스트해보니까 똑같이 서울만 이래요

 

서버 초보인 내가 문제겠지 설마 호스팅사 문제겠냐 싶어서

 

벌처 서울리전 이용하는 다른 사람 사이트를 찾아서 uptrends에 넣어보니까 마찬가지로 서울만 엄청 늘어지네요

 

 

그냥 uptrends 이 사이트의 측정 방식 자체가 이상한걸까요?ㅠㅠ

 

벌처 서버 장애라고 하기에는 서버공부 고작 3일차인 내가 테스트할때 딱 장애가 뜬다는게 이런 우연이 있을리가 없겠다 싶고..

 

초보라 질문이 좀 정신사나운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

  • Lv3
    꼭 그런 벤치를 해야할까 싶기도 합니다.
    Vultr 서울리전과 KT, SK IDC 사용하고 있는데 Vultr도 그렇고 모두 문제는 없었습니다.

    CDN을 사용하셔야 하는 어떤 특정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 Lv3 ? Lv0

    구글 봇때문에 그렇습니다 ㅠㅠ
    그놈의 구글의 인류애 때문에
    전 세계 어디서든지 빠르게 접속되는게 확인되야

    승인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ㅠㅠ

  • ? Lv0 Lv3
    저는 해외 사용자 고려하지 않고 Vultr 한국리전에 올리고 클라우드 플레어 하나 올린 것 만으로 일 방문자 10~15M 정도 되는 곳에서도 1위 2위 왔다 갔다 합니다.

    CDN을 Vultr를 쓰는것을 고려하지 마시고 클라우드 플레어를 사용하시는 건 어떤지요
  • Lv3 ? Lv0
    죄송합니다 초보라 CDN을 vultr로 쓴다는 말이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어요..ㅠㅠ

    vultr도 CDN을 운영하나요?


    제가 하려고 했던건

    'vultr 서울리전에 서버를 올리고, 클라우드 플레어든 뭐든 해외 접속자만 CDN으로 보내고

    국내 접속자는 CDN을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 <-- 이거였습니다.

    혹시 이렇게 하셨다는 말씀이신가요?
  • ? Lv0 Lv3
    게시글 중간에
    [제가 CDN 관련 설정을 잘못한건가 싶어서 아예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테스트해보니까 똑같이 서울만 이래요] 라고 말씀하셔서 저는 Vultr CDN을 세팅하신 줄 알았는데~ 다른 방법을 쓰셨나보네요..

    저는 국내/해외 둘다 클라우드플레어를 경유하게 했고, 생각보다 느리지 않습니다.
    XETOWN도 클플을 경유하는데도 지금 느리다는 느낌을 안받는 것처럼요 ㅎㅎ.
  • Lv3 ? Lv0
    아하.. 다시보니까 제가 말을 애매하게했네요 ㅋㅋ

    다름이 아니오라

    열심히 구글링하다보니 또 클플은 사용자 몰리면 오히려 해외 엣지로 더 돌아갈수도 있다..

    이런말을 들어서 국내사용자들은 그냥 원본서버로 접근하는식으로 구현하려고 했습니다

    이건 그냥 클플 유료계정으로 돈 쓰면 해결되는 문제일까요?..
  • ? Lv0 Lv3
    그렇게 하면 클플을 쓰는 이유가 없습니다. 그냥 FREE티어에서 항상 클플을 경유하게 하세요..
    처음 연결은 늦을지언정 그 다음부턴 느리지 않고요

    게다가 클플은 Crawler Hints 라고해서

    Crawler Hints는 Cloudflare를 사용하는 사이트에서 콘텐츠를 변경할 때 검색 엔진 및 기타 크롤러에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크롤러가 정확한 시간에 크롤링하고, 불필요한 크롤링을 방지하며, 일반적으로 원본 및 기타 인터넷 인프라의 리소스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Lv3 ? Lv0
    아하..

    잘 알지도못하면서 커스텀하려던게 오바였네요 ㅋㅋ

    Crawler Hints 라는건 또 처음 들어보는데 딱 봐도 구글이 좋아할만한 내용이네요 ㅋㅋ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 Lv0 Lv3
    그런뜻은 아닙니다. CDN이라는것이 결국 접속자와 가장 가까운 엣지(지점)을 연결해주는 것을 모두 알아서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커스텀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였습니다.
  • Lv37

    해외 서비스를 사용해서 국내 서버의 속도를 측정하면 당연히 해외 서버보다 느리게 나옵니다.

    한국 서버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냥 거리가 멀어서 어쩔 수 없습니다.

     

    세계 어디에서나 그럭저럭 괜찮은 속도가 나오도록 하려면

    세계 인터넷망의 중심지인 미국 서부 지역(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등)에 서버를 두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CDN을 사용하더라도 캐싱되지 않는 리소스가 있게 마련이므로, 원본 서버의 위치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단, 한국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한국어 서비스라면

    외국에서의 접속 속도가 좀 떨어지는 것을 감수하더라도 한국에 서버를 두는 것이

    실제 사용자 만족도(=수익성) 면에서 넘사벽입니다.

  • ? Lv2

    굳이굳이 서버의 속도를 측정하셔야겠다면 구글 페이지인사이트, 클라우드플레어 Observatory가 있습니다.
    벌처의 인스턴스 안정성은 별로지만, 망 품질의 경우에는 CDN에서도 사용할 정도로 나름 괜찮은 편인가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