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좋은정보 공유에 감사드립니다.

기존 트래픽 종량제 호스팅만을 이용하다가 대역폭을 쓰는 호스팅으로 변경후

제가 잘모르는 계산방식의 차이이겠지만 의문점이 명쾌히 해소가 되지않아 글을 남겨봅니다.

사용중인 호스팅회사에는 1:1 고객지원 문의를 해보았지만 2틀째 답변이 없습니다.

앞으로 늘어날 사용자와 트래픽을 예측하여 시스템과 트래픽 계획을 세워야 하는 상황이라

간절한 초보에게 선배님들의 배려있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모호스팅업체 2024년 7월 8일 tomcat JSP 자이언트 상품(일 30G-실제는10G 종량제 상품) 에서 단독웹호스팅 비지니스 상품 (10Mbps 네트워크)으로 사양변경을 하여 이용중입니다.
 

1. 현재 일일 총전송량이 100Mbyte 내외 정도되는데 평균 트래픽이 서버증설이전(2024년 7월 7일) 7.1 Kbps 에서 서버증설이후(2024년 7월 8일) 371.2 Kbps 로 표기되는것이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총누적량은 크게 변화가 없는것은 확인이되나 서버증설이전과 서버증설 이후 평균트래픽이 크게 차이나는것으로 표기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2. 2024년 7월 15일 기준 평균 트래픽이 661.4 Kbps 이고 하루 총 전송량이 117.1Mbyte 인것으로 확인되는데 평균트래픽을 하루단위로 환산하면 총전송량이 맞게 표기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하루총 누적전송량이 100Mbyte 내외인데 평균트래픽 661Kbps가 나올수 있는 수치인지 알고싶습니다. 하루 총 전송량이 계산되는 수식이 있다면 알고싶습니다.

 

3. 2024년 7월 16일 기준 과금 대상 트래픽이 1.2 Mbps 로 확인되어집니다. 현재기준 저희가 텍스트위주로 서비스하는 활성 사용자가 200명 정도 되는데 지금과 동일한 추세의 트래픽 수치라면
사용자가 2000명만 되어도 과금된다는것인데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현재 일누적 사용량 100Mbyte x 10배 해도 하루 누적전송량이 1Gbyte 뿐이 발생 되지않습니다.

 

4. 단독웹호스팅 비즈니스 10Mbps 대역에서 과금기준 5분단위 평균 트래픽의 3배를 감안하여, 평균 3.3Mbps 이내로 사용할 경우 월 총사용량 1.08TB의 트래픽이 보장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다시말하면 월 총 누적 트래픽이 1.08TB 이내여도 과금이 될수 있는지 여부를 알고싶습니다.(대략 하루 33Gbyte 이하로만 사용시 과금발생 될수 있는지 여부)

 

이상입니다. 호스팅업체에 문의한 내용과 거의 동일하게 적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간별트래픽내역.jpg

20240715일일누적전송량.jpg

 

  • Lv37

    카페24에서 공식적으로 확인을 받으셔야겠지만,

     

    1) 일일 누적 전송량이 이상하게 집계되는 것 같습니다. 하루 힛트수가 86만 회인데 하루 전송량이 100MB밖에 안 나올 리가 없습니다. 페이지나 이미지 하나당 용량이 평균 100바이트쯤 되어야 하는데, 기본적인 헤더만 전송해도 100바이트는 넘습니다. 활성 사용자가 200명이라고 하신 것도 하루 전송량 100MB와는 맞지 않는 수치이고요. 아래에 나오는 일일 트래픽 내역과 MRTG 그래프, 과금 대상 트래픽 정보도 모두 서로 일치하므로, 전송량만 과소 측정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2) 추측하신 4번 내용은 정확하게 맞습니다. 5분 단위 최대값은 들쭉날쭉하기 마련이니, 평균 트래픽(대역폭)을 3.3Mbps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단, 누적 트래픽(전송량) 데이터는 신뢰할 수 없으므로 전송량이 아닌 대역폭 기준으로만 보셔야 합니다.

     

    3) 7월 7일 이전의 트래픽이 이상하게 나오는 것은 그냥 노이즈인 것 같습니다. 대역폭은 대개 IP 기준으로 집계하는데, 이전에 다른 호스팅 상품을 사용하셨다면 IP가 달랐을 테니 그 때의 정보는 현재 서버 통계에 나오지 않는 것이지요. 7월 7일 이전의 트래픽으로 나오는 것은 님에게 이 단독서버가 할당되기 전 대기상태에서 사용한 것이거나 (카페24처럼 규모가 있는 업체들은 긴급한 업그레이드 요청에 대비하여 항상 여분의 장비를 대기시켜 놓습니다), 해당 IP를 사용하던 다른 고객의 트래픽일 수도 있는데, 워낙 미미한 수준이라 오히려 평균을 깎아주는 효과가 있으니 딱히 문제삼을 필요 없겠습니다.

     

    4) 맨 아래에 나오는 평균 트래픽의 "총합" 7.1Mbps도 잘못 계산된 것 같네요. 단순히 모든 값을 더한 모양입니다. 평균은 평균을 내야지, 합계는 의미가 없지요. 업체 규모에 걸맞지 않게, 과금의 기초가 되어야 하는 통계자료가 영 어설프게 나오는군요.

  • ? Lv0

    거의 위치데이터만 송수신하는 서비스라 텍스트 10자내외의 패킷들이 대부분입니다.
    일일 누적 전송량은 예전부터 체크해왔던터라 일일 30Mbyte~120Mbyte 정도 입니다.
    MRTG 그래프가 잘못된것은 아닐테고 집계방식의 차이인지 기존대비 30배이상 더 나오는것으로
    측정되는거같아서 호스팅업체측에 어떤식으로 문의를 해야할지 답답하네요
    기진곰님 예전부터 답글이나 게시글들 늘 도움 많이받고 감사합니다.

  • Lv37

    아, 정말로 수십 바이트씩만 주고받는 서비스인가요? 그래도 HTTP를 사용한다면 헤더, 쿠키 등 기본적으로 수백 바이트가 붙을 텐데요. XE타운에서 뭐 하나 추천하기만 해도 AJAX 요청의 body는 100바이트 이하이지만 헤더가 무려 1KB입니다.

     

    예전 웹호스팅에서는 헤더 용량을 빼고 body의 용량만 집계했는데, 단독서버는 서버를 거쳐 가는 모든 데이터의 용량을 집계하여 수십 배로 늘어났고, 그 와중에 일일 총 전송량은 웹호스팅처럼 body만 집계하고 있다... 라는 가설을 세워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일반적인 홈페이지들은 헤더에 비해 body의 용량이 크니까, 지금까지 누구도 이 오차를 눈치채지 못했던 것이겠지요.

     

    마찬가지로, 단독 서버는 FTP로 백업한 트래픽이나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외부와 통신한 트래픽도 모두 과금될 수 있습니다.

  • ? Lv0

    서비스내용을 제가 제대로 설명 못드렸네요

    패킷대부분이 숫자로된 위도+경도 데이터를 10초에서 10분간격으로 송수신하고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그래서 힛트수만 높은거같습니다.
    다시확인해봐도 몇달간은 하루 30Mbyte~100Mbyte 내외로 사용했고 힛트수는 비슷한거 같습니다.

    누적사용량으로 대략 하루 33Gbyte 이하로만 사용시 과금은 발생하지 않는건까요?

    누적사용량방식과 대역폭 계산이 이렇게 크게 나는줄 몰랐습니다. 

  • Lv37

    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주고받는 body 용량은 10자 내외에 불과하지만, 그 body를 주고받기 위해 부수적으로 주고받아야 하는 TCP handshake, TLS handshake, HTTP 헤더 등의 용량이 수백 바이트 ~ 1KB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님 사이트 전송량이 하루 100MB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body만 본 것이므로 착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 Lv0

    말씀데로 대부분 페이지뷰 없이 api를 이용해 위치데이터를 d/b 서버로만 저장하거나 불러옵니다.
    본문의 2번 내용 하루 총 전송량이 117.1Mbyte 뿐이 안되는데 평균트래픽은 661.4 Kbps 으로 측정이되는 지가
    무척 궁금합니다. 제가 대역폭에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누적사용량에 익숙하다보니
    아무래도 생각에 오류가 있나봅니다. 바쁘실텐데 시간내서 해주시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 Lv37

    왜 수십 배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위의 댓글에서 두 차례 제 추측을 말씀드렸습니다.

    661.4Kbps에 뭘 곱하면 117.1Mbyte가 나오는 것이다, 라는 공식을 찾으시면 곤란합니다.

    측정 기준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서로 큰 관계가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HTTP 헤더와 body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님이 50kg짜리 가구를 서울에서 부산까지 용달로 보냈습니다.

    그 가구를 운반하기 위해 1700kg짜리 트럭이 80kg짜리 운전기사를 태우고

    60kg의 기름을 싣고 고속도로를 달립니다.

    님이 부산으로 보낸 물건의 총 무게는 몇kg입니까?

    님은 50kg이라고 하고, 도로공사 측에서는 1890kg이라고 합니다.

     

    님이 50kg짜리 물건을 보냈다고 해서 고속도로 통행료가 경차 기준으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님이 117.1Mbyte를 전송하기 위해 움직인 데이터의 양방향 총합을 봐야 한다는 겁니다.

  • ? Lv0
    결과적으로 비용이 더비싼 상위상품으로 변경해서 트래픽에 여유가 생길줄 알았는데 반대로되다보니
    의아했었습니다. 설명주신거 위주로 더찾아보고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v8
    10 Mbps 까지 봐주는데, 1.3 Mpbs 라면 아직 많이 널널한것 아닌가요?
    추가 과금 안될것 같은데.
  • Lv8 Lv37
    카페24는 MIN(5분 단위 최대 대역폭, 월 평균 대역폭의 3배) 기준으로 과금하기 때문에
    순간 최대 대역폭이 한 번이라도 10M를 넘어가면 3.3M 계약이 되어 버립니다.
  • ? Lv0

    아직 과금까지 트래픽이 여유있는것은 맞습니다. 말씀대로 실제 과금기준이 최대대역폭의 피크는 의미없는거같고 평균트래픽으로 예측해야하는데 몇명이나 수용가능할지 감이안오네요

    하루 24시간 통털어 100Mbyte 정도 쓰는데,  5분단위 평균 트래픽의 3배로 계산해서 1.2Mbps 라고 하니 걱정입니다.
    만약 하루 1000Mbyte 정도 쓴다면 12Mbps 가될테고 과금이 발생된다는 것일테니 대역폭 계산은 참 이상한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