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좋은정보 공유에 감사드립니다.
기존 트래픽 종량제 호스팅만을 이용하다가 대역폭을 쓰는 호스팅으로 변경후
제가 잘모르는 계산방식의 차이이겠지만 의문점이 명쾌히 해소가 되지않아 글을 남겨봅니다.
사용중인 호스팅회사에는 1:1 고객지원 문의를 해보았지만 2틀째 답변이 없습니다.
앞으로 늘어날 사용자와 트래픽을 예측하여 시스템과 트래픽 계획을 세워야 하는 상황이라
간절한 초보에게 선배님들의 배려있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모호스팅업체 2024년 7월 8일 tomcat JSP 자이언트 상품(일 30G-실제는10G 종량제 상품) 에서 단독웹호스팅 비지니스 상품 (10Mbps 네트워크)으로 사양변경을 하여 이용중입니다.
1. 현재 일일 총전송량이 100Mbyte 내외 정도되는데 평균 트래픽이 서버증설이전(2024년 7월 7일) 7.1 Kbps 에서 서버증설이후(2024년 7월 8일) 371.2 Kbps 로 표기되는것이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총누적량은 크게 변화가 없는것은 확인이되나 서버증설이전과 서버증설 이후 평균트래픽이 크게 차이나는것으로 표기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2. 2024년 7월 15일 기준 평균 트래픽이 661.4 Kbps 이고 하루 총 전송량이 117.1Mbyte 인것으로 확인되는데 평균트래픽을 하루단위로 환산하면 총전송량이 맞게 표기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하루총 누적전송량이 100Mbyte 내외인데 평균트래픽 661Kbps가 나올수 있는 수치인지 알고싶습니다. 하루 총 전송량이 계산되는 수식이 있다면 알고싶습니다.
3. 2024년 7월 16일 기준 과금 대상 트래픽이 1.2 Mbps 로 확인되어집니다. 현재기준 저희가 텍스트위주로 서비스하는 활성 사용자가 200명 정도 되는데 지금과 동일한 추세의 트래픽 수치라면
사용자가 2000명만 되어도 과금된다는것인데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현재 일누적 사용량 100Mbyte x 10배 해도 하루 누적전송량이 1Gbyte 뿐이 발생 되지않습니다.
4. 단독웹호스팅 비즈니스 10Mbps 대역에서 과금기준 5분단위 평균 트래픽의 3배를 감안하여, 평균 3.3Mbps 이내로 사용할 경우 월 총사용량 1.08TB의 트래픽이 보장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다시말하면 월 총 누적 트래픽이 1.08TB 이내여도 과금이 될수 있는지 여부를 알고싶습니다.(대략 하루 33Gbyte 이하로만 사용시 과금발생 될수 있는지 여부)
이상입니다. 호스팅업체에 문의한 내용과 거의 동일하게 적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카페24에서 공식적으로 확인을 받으셔야겠지만,
1) 일일 누적 전송량이 이상하게 집계되는 것 같습니다. 하루 힛트수가 86만 회인데 하루 전송량이 100MB밖에 안 나올 리가 없습니다. 페이지나 이미지 하나당 용량이 평균 100바이트쯤 되어야 하는데, 기본적인 헤더만 전송해도 100바이트는 넘습니다. 활성 사용자가 200명이라고 하신 것도 하루 전송량 100MB와는 맞지 않는 수치이고요. 아래에 나오는 일일 트래픽 내역과 MRTG 그래프, 과금 대상 트래픽 정보도 모두 서로 일치하므로, 전송량만 과소 측정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2) 추측하신 4번 내용은 정확하게 맞습니다. 5분 단위 최대값은 들쭉날쭉하기 마련이니, 평균 트래픽(대역폭)을 3.3Mbps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단, 누적 트래픽(전송량) 데이터는 신뢰할 수 없으므로 전송량이 아닌 대역폭 기준으로만 보셔야 합니다.
3) 7월 7일 이전의 트래픽이 이상하게 나오는 것은 그냥 노이즈인 것 같습니다. 대역폭은 대개 IP 기준으로 집계하는데, 이전에 다른 호스팅 상품을 사용하셨다면 IP가 달랐을 테니 그 때의 정보는 현재 서버 통계에 나오지 않는 것이지요. 7월 7일 이전의 트래픽으로 나오는 것은 님에게 이 단독서버가 할당되기 전 대기상태에서 사용한 것이거나 (카페24처럼 규모가 있는 업체들은 긴급한 업그레이드 요청에 대비하여 항상 여분의 장비를 대기시켜 놓습니다), 해당 IP를 사용하던 다른 고객의 트래픽일 수도 있는데, 워낙 미미한 수준이라 오히려 평균을 깎아주는 효과가 있으니 딱히 문제삼을 필요 없겠습니다.
4) 맨 아래에 나오는 평균 트래픽의 "총합" 7.1Mbps도 잘못 계산된 것 같네요. 단순히 모든 값을 더한 모양입니다. 평균은 평균을 내야지, 합계는 의미가 없지요. 업체 규모에 걸맞지 않게, 과금의 기초가 되어야 하는 통계자료가 영 어설프게 나오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