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에 멍하니 잡생각을 하다가 궁금해진건데요.

 

국내IDC 에 서버를 놓고 운영을 할경우,

해외트래픽에 대해서 GB당 500원 가량의 요금이 붙는거 같더라구요.

 

근데, Conoha나 Linode등의 해외 IDC에 있는 서버를 이용해서 운영을 할 경우엔,

딱히 해외트래픽이라고 구분짓지않고 기본요금수준에서 TB 단위의 해외트래픽도 커버가 되는거 같거든요.

 

단순하게 계산해보면,

한국에 서버를 두었는데 해외트래픽이 1TB 라면 50만원을 지불.

미국에 서버를 두었는데 해외트래픽이 1TB라면 1만원을 지불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좀 찾아보니

해저광케이블을 회선사업자가 임대를 하는거라고 하는데

그 회선임대료를 한국한테만 비싸게 팔리도 없을테고

그동안 다른나라보다 수~수십배 비싸게 트래픽요금을 받아먹었으면

지금쯤이면 자체전용망쯤은 깔아놨어야하지 않나?

하는 궁금증이........

 

  • profile

    1. 국내 트래픽이라고 해봤자 대부분 서울 시내에 있는 IDC들을 연결해 주는 것이고, 게다가 전국민의 50%가 서울에서 50km 이내에 살고 있지요. 10,000km 떨어져 있는 미국을 연결하는 것보다 원가가 낮은 것이 당연합니다.

     

    2. 우리나라는 원래 해외 트래픽이 많이 필요하지 않돈 나라입니다. 언어의 장벽 때문에 대부분의 국민들이 국내 사이트에서만 놀거든요. 국내에서는 어마어마한 트래픽이 오가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해외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는 사람은 외국인이거나 해외에 볼일이 있는 사업가, 교수, IT 전문가, 일부 학생들 뿐이었어요. 그런데 유튜브가 들어오고 구글과 페이스북 등이 인기를 끌면서 해외 트래픽이 폭증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저 광케이블을 새로 깔려면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고, 이미 만들어진 국내 인프라 위에서 꼬박꼬박 돈을 받는 데만 익숙한 통신사들은 해저 광케이블 증설에 큰 돈을 투자하기보다는 유튜브 동영상을 국내에서 캐싱하는 등의 꼼수에만 관심이 많았지요. 돈을 많이 받으면 수요가 억제되고, 그걸 핑계로 공급도 늘이지 않을 수 있으니...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해외 트래픽을 차별하지 않는 AWS는 GB당 100원대로 공평하게 비싸게 받습니다 ㄷㄷㄷ 해외 트래픽이 일정 비율 이상인 사이트라면 그래도 이게 싸죠.

     

    3. 해저 광케이블의 용량 중 일정 부분을 통신사가 임대하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저 광케이블 임대업자가 통신사와 전혀 무관한 것도 아닙니다. 대부분의 해저 광케이블은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통신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벌이는 사업이니까요. 수천~수만km짜리 해저 광케이블을 한 회사가 독자적으로 설치하기에는 좀 부담되거든요. 우리나라 통신사들도 이런 사업에 종종 참여합니다. 큰 비율을 차지하지 않을 뿐... (대부분 일본과 중국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중간에 슬쩍 끼어듭니다 ㅋㅋ)

     

    참고: http://www.submarinecablemap.com/

     

    4.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해외 트래픽을 차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트래픽이 해외 트래픽이거나, 미국처럼 땅덩이가 워낙 넓어서 국내 트래픽이라도 해외와 원가 차이가 없기 때문이죠. 게다가 투자가 엄청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모두 다 쌉니다. 우리나라 국내 트래픽보다도 오히려 더 쌉니다. 1TB에 1만원은 클라우드 업체들의 바가지 요금이죠. 싼 데는 1천원 이하도 있습니다 ㅎㅎ

     

    5. 일본은 태평양에서 동북아시아로 들어오는 모든 태풍과 쓰나미와 해저 광케이블을 온몸으로 막아냅니다. 덕분에 해저 광케이블 용량이 넘쳐납니다. 그래도 미국이나 유럽보다는 비싸요.

     

    6. 위의 모든 가격은 서버를 한두 대씩 임대하는 개인고객 대상이고, 대량으로 구입하면 훨씬 싸긴 합니다.

     

  • profile profile
    LGU+에서 유튜브 캐싱서버를 둬서 유튜브가 빨랐던걸 좋아하던때가 있었는데 그것도 꼼수였군요 ㅎㅎㅎ

    링크해주신 케이블맵을 보니..
    태풍과 쓰나미를 막아줘서 좋던 일본이 좀 미워지는....ㅎㅎㅎ
    그나저나 러시아는 글로벌인터넷 사정이 무척 안좋을꺼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 profile ?

    "어떤 통신사가 해저 케이블에 투자하는가?" 로 국내 통신사를 쳐다보면.. KT 와 LG U+ 정도가 보일 것 같은데.. KT는 국가 기관이기도 했기 때문에 그 잔뼈가 아직도 계속된다는 생각이에요. 'KT서브마린' 같은 자회사가 있는 것 부터 역량 차이가 너무 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 해저케이블까지 따질 정도면, 국내 통신사 중엔 KT 외엔 선택지가 없을걸요..

  • ? profile
    네, 그나마 KT 해외 회선 성능이 좋습니다. 그러나 KT 회선을 쓰는 호스팅 업체들은 하나같이 "해외 트래픽이 전체 트래픽의 3%를 초과할 수 없음"이라는 조항을 달아 놨어요.
  • profile
    우리나라 해외망이 비싼 이유는 해저 광케이블 컨소시엄 사업을 구축할때 돈 들어간다고 참여를 안해서 그렇다고 들은적이 있습니다. 그 결과 해외망을 이용할때마다 임대료를 내야 하는데 그게 예전에는 별거 아니었는데 요즘같이 구글 유툽 / 페북 등 네트워크 많이 잡아먹는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나서 비용이 커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