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벨을 익힌 개발자가 xe3에 유입되서 자유롭게 활동하길 기대하고 있나 보군요

진입하기 위해 공부를 좀 하길 바라는 눈치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수요가 있을 때 이야기입니다.

 

xe블로그에 글 올리는 사람만 올립니다. 그 마저도 한 두개죠. 나머지 게시물은 거의 질문 답입니다.

원하는 질문 답 얻는 것이 xe타운이 xe블로그보다 빠릅니다. 

 

사용자풀을 포기한 것에 대한 응보입니다.

 

국내 여타 회사들은 사용자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완벽해야 사용자층이 두터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페이스북이 완벽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늘어났나요?

 

과거와 달리, 이제는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것에 많이 주목합니다.

오픈소스의 장점이 아시듯 신속히 퍼질 수 있다는 점인데, 해외 대기업들이 오픈소스를 품어보고싶어 하는 것도 그런 까닭에서죠.

 

그런데 xe블로그엔 사용자 참여를 외면하고,

xe3은 사용자 진입장벽을 만들어놓고

사양을 높여서 호스팅업체들의 부담을 지워준다면, 

 

자세를 더 낮춰서 이용자를 확보해도 모자를 시점에서

 

xe사용자를 xe1과 xe3로 둘로 쪼개

기존 서드파티 개발자의 집중도를 하락시키고,

신규 개발자의 유입으로 파이는 더 줄어들며,

 

이 유일한 해법은 어디까지나 수요의 증가가 있어야 하는데

 

기획부터 사용자를 배재한 모델이, 과연 중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 있을런지

 

2, 3년 후에는 정상화 될거라 예상하시는데, 저도 마찬가지로 생각합니다.  다만, 안정적일 지언정 커스텀의 어려움으로 인해 단순 커뮤니티사이트를 제작하는 것 이외에는 주문제작 이외엔 사용할 일이 없겠죠.

 

이전에 제가 잘못 쓴 글이 있었습니다.

제로보드가 보안이 안좋은 줄은 몰랐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럼에도 왜 제로보드를 사용하는지.

 

그건 사용하기 쉽기 때문이 아닐까요? 이것도 잘못 짚었다면 다음에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 Lv16

    맞습니다. 일단 사용자가 있어야 개발자도 생기는 거니깐요..

    어느정도 텃밭을 가꾸어 있어야 개발자도 그곳에 상추를 심든 토마토를 심든 할 텐데

    개척도 안된 황무지에서 식물을 키워보라고 하면 누가 할까요? 과연..

     

    그럴거면 차라리 자체 시스템을 만들죠...

  • Lv16 ?
    4대강 공사급 뻘짓이라 생각합니다,,
  • ?
    개인적으로 저는 만족하는 편입니다
    왠지모르게 XE 다루는 사람이라고 하면
    나름 모듈도 만들고 하는 사람인데
    나모 웹에디터 쓰는 사람 취급 받았었거든요 (...)

    아마 XE3는 처음부터 전문가용은 아닐까 하고 생각중입니다
  • ? ?
    그런 말도 듣긴 들었고 틀린말하신것도 아니라.. 공감합니다 ㅎㅎ
  • ?
    1. 진입장벽이 XE1보다 낮습니다.
    어느 cms나 프레임워크를 쓰더라도 일단, 처음 접하려면 파악을 해야하고 공부를 해야합니다. XE3가 XE1의 지식으로 개발을 할 수 있게끔 개발되었다면, 글세요. XE1과의 차이점이 뭐냐는 소리만 나왔을 것 같습니다.

    XE3는 라라벨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되고있는데 사실 이는 이미 해외에서 널리 쓰이는 프레임워크이며 따리서 XE1때와는 비교가 안될정도로 개발자가 많습니다. XE1을 주제로 스텍오버플로우에 질문을 할 순 없지만 라라벨 주제로는 가능합니다.

    XE팀에서는 몇달 전부터 개발자들을 양성하기위한 세미나를 자주 개최함과 동시에 한글메뉴얼도 제작했습니다. Composer, Laravel 한글메뉴얼과 세미나 영상은 현재 공홈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2. 호스팅 업체에 대한 부담
    XE는 한국시장에선 나름 입지가 있는 Cms입니다. 호스팅 업체가 고객이 요구하는 서버사양에 맞추어 서비스를 내놓아야지 고객이 서버사양에 맞춰 이용을 하는건 시장경제에선 옳지않은 일입니다.
  • ? ?
    전혀 본문요지랑 관계없는 댓글 남기신듯 합니다..
    일단 시장경제란 항상 고객의 요구에 부흥하는 것이 아닌 쌍방의사 합치에 일어나는 것이구요..
    구지 문제를 잡자면
    수요압력과 공급의지의 문제인데 수요압력이 높을 것이다? 글쎄요

    진입장벽이 높고 낮음은 이동님께서 생각하시는 그 장벽이 아니라 이용자가 입문하기 위한 장벽을 말하는 겁니다..
    하지만 제가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고.. 오해하셨다 생각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런데 본문은 수요측면에서 사용자확보에 우려의 시각을 보내고 있는 글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개발자가 유입되면 엑스이가 부흥된다는 시각도 이해가 갑니다 그 역시도 제 시각과 상반됬으나 이유 있는 항변이죠
    허나 개발자위주 프로젝트든 이용자위주 프로젝트든 결국 둘 다 아우르지 못하는 이상 결과물은 뻔해 보이는군요.
    동의하지 않는다 하셔도 괜찮지만
    십분 양보하더라도 제 글은 전혀 읽지 않고 그냥 마음가는 대로 쓰신것 같습니다
    저도 이동님께서 말하고 있는 내용 익히 알고 적은 글 입니다.

    다시 말 드리지만 저는 이용자를 배제하는 씨엠에스에 대해 유감이라는 입장에서 글을 적은 것이지, 공급당사자와 관계 개발자의 뜻에는 크게 관여하고 싶지 않습니다. 자기가 좋으면 바꾸는거죠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