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이랑 한동안 아줌마라는 단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제 동생은 45인 미혼이고...

 

동새은 최근에는 아줌마라는 단어가 한 인간을 격하하는 단어이고

전 근원은 근린에 있는 내가 위험할때 내가 힘들때 도와줄 수 있는 결혼한 여성에 속한다고 시작했습니다.

결론은 둘다 맞는 말이다지만...

 

돌아서서 한참 제가 아줌마를 불렀던 기억들은 더듬어 봤습니다.

 

유동거리가 적었던 70~80년 대는 집에 일이 있을때 손쉽게 집에 일이 있을때나 배가 고플때 찾아 갈 수 있는게 집 근처의 가족을 책임지는 아줌마였던거 같습니다.(물론 저의 기억은 여기에 머물러 있습니다.)

점차 사회가 발전하면서 여성의 직업선택권이 넓어지고 그와함께

여성이 함께 일을 안하면 기본생계가 힘들어지는 사회구조로 바뀌면서 여성의 자의적 사회생활폭이 넓어진것고 무관하게 강제적인 사회생활이 넓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동생애랑 이야기 하느라 술취해서 나먼진 다음에.... ㅋㅋㅋ

 

뭐 짧게 정리하면 사회성이 높은 아주머니들이 사회성을 강요받으면서

근린 지구를 지키기 위한 에너지 축적과 그것을 담보하기 위한 반사회성의 표출 사이에서 나오는 괴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하여튼 여성이 남성보다는 종족보존의 의지가 조금더 높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모든 케이스가 다 동일한게 아니지만...

 

 

  • Lv16

    원래 아줌마는 아주머니의 줄임말 개념이고 아주머니 보다는 격하된 단어는 맞습니다. 하지만, 한 인간을 격하하는 단어는 아니고요
    그리고 원래 어원을 찾아보자면, 엄마와 같은 항렬의 친적을 부르는 명칭이였습니다.

    근대에는 결혼한 사람을 칭하는 단어가 되었지만요.

     

    사실 식당에서 여종업원을 부를 때 이모~ 이모님 부르는 것과 같이

    아줌마도 친근의 의미로 엄마의 항렬 아닌 사람에게도 쓰이게 된 것 같지만요.

    다만 끝 단어가 마! 로 끝나서 격하(?)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 것 같습니다.

    또한 일부의 몰지각한 사람들의 행위로 인터넷을 통해 "개념없는 아줌마"라는 제목이라든지로 인해

    더욱 부정적의미가 되어버린 것은 아닌가... 조금 씁쓸하네요.

  • Lv8
    아줌마라는 호칭은 한 인간을 격하하는 호칭이 아닙니다.
    지금은 이모, 외숙모, 고모 등으로 부르는 어머니와 같은 항렬의 여성 친족을 호칭하는 단어였습니다.

    아래아를 넣으면 글이 깨져서 아래아는 . 으로 씁니다.
    '앚+아비', '앚+어미' 이렇게 '아비'와 '어미'에 '앚'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인데 한 인간을 격하하는 의미가 들어갈 리가 없죠.
    아주머니의 옛 형태는 '아ㅈ.미'고,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성 친족은 '아자비(아ㅈ.비)'라고 했습니다.
    '아ㅈ.미'의 존칭은 '아ㅈ.마님', '아자비'의 존칭은 '아자바님/아ㅈ.바님'으로 사용한 문헌이 남아 있습니다.
    한 인간을 격하한다는 말을 어디서 들었는지 모르지만, 그런 나쁜 의미가 있는 단어가 아닙니다.
  • ? Lv7
    애(아기)주머니가 아주머니 아줌마 가 되었다는 오해가 있습니다
    이건 정말 오해입니다 ㅎ
  • 사회에서 그 단어를 어떤 시선으로 사용하느냐, 혹은 당사자가 어떤 상황에서 그 단어를 접했는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동생분이 그 단어를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자주 접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히 모르지만 아마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접하시고 기분이나 감정이 상한 적이 좀 있으신 것 같습니다. 예시로는 위에 댓글에도 있듯이 아예 개념없는 아줌마라고 통으로 붙여서 부른다던지, 무식하고 멍청한 나이 먹은 여성을 아줌마라고 부르며 놀린다던지.. ㅜㅜ 상대방을 격하하는 뜻으로 사용하는 사람들로 인해 마음 다치는 상황을 겪어보셔서 그런 생각을 하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