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vultr를 본격적으로 써본 적은 없습니다만..

제가 가끔 가는 아주 자그마한 커뮤니티가 미국 vultr를 씁니다.

정확하게 어떤 상품을 쓰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마 밑에서 2번째.. 1달 10달러짜리 상품이 아닐까 합니다.

왜냐면 관리자분이 속도 느리다고 플랜 업그레이드를

한번 한다고 공지했었거든요. 

설마 이 속도로 1달 10달러 이상 받을거 같진 않고.. 

5->10이었다는게 제 추측입니다...

뭐 2.5->5 였을 가능성도 있긴 한데.. 흠... 2.5달러짜리는

목록에만 있지 매진된게 많아서 실제 거의 살 수 없는거 같던데..

그래도 vultr로 간지 꽤 되었으니 그때는 2.5짜리가 있었을까요? 과연 어떨지..

그누보드 5.3에 커스터마이즈 거의 없이 인스톨된대로

그냥 쓰고 있는데..

밤이 되면 상당히 느립니다...

(그리고 DB도 자주 죽는 편이에요 몇번 봤네요)

대략 동접 30? 그정도에서부터 느려지는거 같은데요...

솔직히 vultr 성능에 너무너무 실망이 되긴 하네요...

제가 써봤던 싸구려 VPS들도 동접 30에서 부하가 걸리진

않았는데... 

vultr 성능이 원래 그정도밖에 안되는걸까요?

아님 뭔가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있을까요?

vultr에 관해서는 이런 리뷰도 있더라구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kin/9096634

 

4코어 상품을 사용하는데 동접 150명에서

페이지 로딩 속도가 20초가 나와버린다는 하소연인데..

웬지 이런거 봐선 vultr 성능이 영 의심스럽단 말이죠...

  • Lv12

    wp 동접이라는 것에서 핵심이 있습니다.
    wp 는 각종 플러그인으로 최적화를 안해주면 150명 동접이 무리가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리고 미국회선은 느립니다.

  • Lv37

    램 1~2기가 사양에서 평범한 매뉴얼대로 APM 설치해 놓고 워드프레스를 돌리면 동접 30명 정도에서 퍼지는 게 정상이죠. 거기 관리자분이 너무 구두쇠이거나 서버 설정을 잘못해서 그런 거지, vultr 성능이 특별히 안 좋은 게 아닙니다. 객관적인 성능은 비슷한 가격대의 해외클라우드 평균쯤 됩니다.

     

    한국에서 가까운 일본에 서버가 있는 해외 클라우드 3총사가 vultr, linode, 그리고 아마존인데... 아마존은 가성비가 너무 안 좋고, linode는 메뉴가 많아서 초보자가 신청하기 좀 까다롭기 때문에 vultr를 제일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쓰는 사람이 많으니까 뭣도 모르고 대강 세팅해 놓고는 느리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도 당연히 제일 많습니다. 반면, 아마존을 세팅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그것보다는 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아마존 가성비가 제일 나쁜데도 불구하고 아마존 느리다고 하소연하는 사람은 별로 보이지 않지요.


    밤에 느린 것은 동접수가 많아서일 수도 있고, 그냥 해외서버라서 느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밤마다 우리나라 해외망이 미어터지거든요. 서버가 아무리 좋아도 패킷이 도착을 안 하는데 빠를 수가 있나요...

  • Lv8
    미국서버를 써서 그런것 아닐까요
  • Lv9
    vultr cpu성능 별로 않좋습니다.
    체감상 linone 도쿄2보다 절반도 안나옵니다.
    vultr 사용했었는데 linode도쿄2 테스트해보고 바로 linode로 바꾸었습니다.
    aws는 넘사벽입니다. 같은 가격대에서 절반의 cpu, memory이지만 성능은 대등하거나 더 좋습니다.
    vlutr은 cpu종류는 알수 없으나 E3 오버한 것으로 알려져있고
    linode는 E5 저가형, aws, 애저, 구글은 cpu스펙이 더 좋습니다.
    하드웨어 스펙이 다른데 코어수, 메모리 많다고 꼭 성능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 ?
    저도 10달라 짜리쓰는데 한달에 총 방문자수가 10만이 넘어가고 동접이 많아도 그렇게 느리다고까지 생각이 안들던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