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들 중소기업들 다 긴 연휴로 한숨 쉬고 있을 겁니다.

(작은 기업들은 연휴 동안 일 못한거 처리하려면 휴일 대체근무 시키고 추가비용 또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네요.. 아니면 연휴 사이에 출근 시키거나..)

 

한달에 10일 이상 쉬었다고 직원들 월급 1/3 깎고 줄수도 없는 노릇이고 하루 벌어서 그 돈으로 월급주고 월세 내고 하는 아주 작은 사업장이 대부분인데...

 

이 긴 연휴 혜택을 과연 누가 볼까요....

 

저도 당장 10일 동안 PG사에서 들어올 돈도 없고 그 사이 임대료랑 물건값 택배비 등등 결제해 줘야 하는데 이게 공과금도 아니고 연휴라고 연휴 끝나고 내도 되는건 아닌거 같구요..

 

특히 영세 상인들 전통시장 상인들 긴 연휴 동안 매출도 없을텐데 씁슬한 명절을 보내실 듯 합니다.

 

이게 옳은 정책이었는지 저는 판단이 잘 서지 않네요.

 

  • Lv8
    저도 택배가 끊기면 놀아야 하는 상황이라 ㅠㅠ 오늘부턴 길거리에 선물세트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보이는데 부럽네요
  • Lv8 Lv30
    아마 치킨집 같은 곳은 연휴에도 배달 수요가 있기에 그런 자영업자분들은 그나마 매출이 조금은 있으니 일하시면서 위안을 삼으시지만 쉬는분들 보며 상대적 박탈감도 느끼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뭐 대부분 업종은 연휴동안 손까락 빨고 있어야 하는 곳이 대부분이지만요...
  • Lv16
    긴연휴라고 하셨는데 그래봤자 나라에서 지정한 임시 공휴일은 하루이고요. 단지 이번엔 추석연휴가 절묘하게 개천절, 한글날에 겹쳤기 때문이지요..

    어차피 그 하루 일한다고 해서 자영업자들이 딱히 장사가 되진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대부분 지방에서 내려가거나 하니까요.
    그리고 어차페 직장인들 입장에선 임시 공휴일 아니여도 그날 휴가 쓰는 경우가 대부분 일거에요.( 못쓰는 곳도 있겠지만... 애초에 그런 곳은 이번 연휴도 못쉴것같은...)
  • Lv16 Lv30
    개천절과 겹처 대체공휴일이 생기고 거기에 언급된 임시 공휴일 지정까지 되면서 이런 결과가 나왔지만 정부에서도 서민들 그리고 작은 기업들이 반대로 힘들어 할것이라는 거 알고 대책을 마련하면서 시행하겠다고 했지요. 하지만 도움 받을 수 있는 곳이 얼마나 될지 전 먼산만 보게 되네요.
  • ?
    돈이 돌고 돌아야 경제가 산다...는 논리로 이런 연휴가 생긴거 같습니다. 일단 좀 두고봐야할 거 같네요. 박근혜 정부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도 계속하는걸 보면 뭔가 효과가 있긴 하겠죠.
  • Lv6
    내수도 내수지만 남들 다 쉴 때 쉬지 못하는 특수직들도 안타깝죠.
    쉬고는 싶은데 돈도 벌고 자리도 지켜야 하고....
  • 사실 정규직 준정규직 직장생활하시는 분들에게나 의미가 있는 연휴겠죠.ㅎ ㅠ 저는 오늘도 열심히 근무를 ㅋ
  • 사실 저희는 연휴에 더 바쁘거든요... 서비스업에 종사하다 보니 연휴나 쉬는 날에 돈을 더 많이 벌어요. 가족 단위나 각종 모임들로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한꺼번에 돈을 쓰시기 때문에... 연휴에 더 바쁜 사람들도 찾아보면 사실 많습니다. 허허. 그래도 해가 갈수록 연휴에 돈 쓰는 사람들이 주는 게 확실한것 같은데 매출액이점점 줄어더니 올해가 최고로 벌이가 별로더라고요. 근방 비슷한 서비스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입을 모아 그렇게 얘기하는걸 보면 저만의 경우는 아닌것 같아요. '한국에서 돈 쓸 바에는 차라리 해외가서 쓰자. 어차피 금액은 비슷하다.' 이런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것 같아요. 뉴스에서도 그렇게 보도를 자주 하기도 하고요... 제주도 가는 돈 = 해외 여행 가는 돈 이런식으로 분석하는 뉴스를 저도 몇번 보기도 했기때문에 8ㅁ8 함튼 요즘 다들 어려운것 같지만 ㅠㅠ 그래도 희망을 보고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