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모 사이트에서 확장 프로그램으로 잠시 작성했었던 스크립트가 있는데, 이 스크립트는 조금 다른 원리긴 해도 gif를 이미지로 보여주고, 필요할 시에만 움짤로 로드하는 형태의 스크립트였습니다. (물론 XE 애드온 같은 게 아니라 js로 작성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었지만요)

 

theqoo_extend.gif

 

 

이런 형태였구요...

 

대표적으로 모바일 웹에서 gif 제한을 적용하는 해외 포럼 등이 몇 있는데, 보통 개인화 설정으로 제어하죠...

모바일 버전에서는 (혹은 반응형에선 모바일로 간주되는 화면 크기에서는) 항상 gif를 스틸 이미지로 로드한 뒤 필요하면 gif로 로드하는 형태인데, 회원 설정에서 gif 항상 보기 등을 체크하면 그런 절차 없이 보이는 것이죠.

 

예전에 어느 xe 커뮤니티 사이트중 하나에 위 기능 (선택적 gif 조회) 을 넣었던 기억이 있는데,, 문제는 해당 커뮤니티가 사라졌고 + git 저장소를 실수로 지워서 이제 그 코드가 저에게 없다는 점...ㅋㅋㅋㅋㅋ

 

Wifi 및 셀룰러를 프론트선에서 구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조금 힘들고, 회원 설정 + 전용 앱 등으로 처리할 수 있겠네요...

일반 회원에게는 항상 보기 / 항상 숨기기 두개의 설정, 앱의 설정에서는 Wifi에서만 항상 보기 / 항상 보기 / 항상 숨기기 이렇게 세개의 설정코드를 제공한다던지요.

  • Lv30

    제 글의 @기진곰님의 댓글과 @yjsoft님 께서는 기진곰님의 코드로 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주시긴 하셨네요.

  • Lv30
    https://xetown.com/request/269881 글의 댓글 metered 기준 말씀하시는 것이죠? 어느 브라우저들에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해외에선 그냥 모바일 버전이면 광역적용 하더라구요. 특히 우리나라에서 네이버 앱 등의 사용률이 꽤 높기에... 지원 되리라 믿습니다만 그냥 안전하게 유저 설정 방식이 낫지 않을까 싶어요.
  • Lv30
    https://xetown.com/lakepark/266963

    이게시글의 댓글입니다.

    [Lv.10]기진곰 2016.04.25 15:18
    HTML5 Network Information API
    http://code.tutsplus.com/tutorials/html5-network-information-api--cms-21598

    var metered = false;
    var connection = navigator.connection || navigator.mozConnection || navigator.webkitConnection;
    if ("metered" in connection && connection.metered == true) {
    metered = true;
    } else if ("type" in connection && connection.type == "cellular") {
    metered = true;
    }

    if (metered) {
    // 모바일 데이터 사용중
    } else {
    // Wi-Fi 사용중
    }
  • Lv30
    앗 잘못 붙여넣었네요... 이렇게 되면 구분이 가능은 하겠지만 어디까지나 서브 방책으로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해당 글의 일부를 발췌해 보면

    At the time of writing, the Network Information API is only supported by Firefox, using its vendor prefix, and Chrome Canary. In Chrome Canary, we have to enable the experimental web platform features flag to use the API. You can find more information in this post by Paul Irish.

    라고 되어 있네요. 요즘은 일반 모바일 브라우저도 지원하는 것 같지만.... 그래도 아직 범용은 아니니까요.
  • Lv19
    https://gamma.yjsoft.me/wifi.html
    테스트용 주소입니다. 일단 모바일 크롬에서 정상 동작합니다.
  • Lv19 Lv12
    유선랜 환경 체크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 Lv12 Lv30
    유선랜은 솔직히 고려하지 않고 있어요. 유선에서 과연 과금되는 네트워크를 쓰는 케이스가 얼마나 될지 희박하다고 보거든요.
  • Lv19 Lv30
    삼성 롤리팝 단말기 크롬/기본브라우저 잘 동작하네요.
  • Lv30 Lv12
    그런 의미가 아니구요. 유선랜으로 접속하면

    Sorry!

    Not 3G/4G connection or detection not supported

    이렇게 나오거든요....
  • Lv19
    iOS에서는 동작하지 않네요...
  • Lv12
    PC건 모바일이건 GIF 면다 클릭해야 재생되게만 만들어도 서버측이나 사용자측이나 서로 윈윈 이겠네요. ㅎㅎ
  • Lv12 Lv30
    PC까지 하는건 좀 야박하구요 ㅋ 서버는 운영자가 좀 감당하는거로 하고 저는 회원들 데이터가.... 데이터가.....
  • Lv30 Lv12
    사실 움짤인지 모르고들어왔는데 움짤이면 전 기분이좀 나쁘더라구요 그냥 ㅎㅎ 왠지모르게
    GIF면 클릭 해서 재생 시키는 맛도 있고 그렇더라구요.

    저도 개발비용을 일부 동참하고싶으나. 몇일전 투자실패로 주식에서 좀 날려먹어서 ㅠㅠㅠ 죄송합니다!!
  • Lv12 Lv30

    가장 깔끔한건 마켓에서 올려져서 구입할 사람들 알아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인데 이게 현실적으로 개발동기가 많이 저희와 다르게 부족한지 그런 상품으로 나오려면 좀 어려울지... 그냥 그런 생각만 하게 되네요.

  • Lv30
    음 개발 자체가 별로 어렵지도 않고 저는 그때 XE사이트에 개발해 넣는데 약 5~15만원인가 받고 했던 기억이 (동인 팬사이트였습니다)...
    대신 이제 gif의 첫 프레임 (용량 작은 이미지) 을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외부 api를 썼었네요... 크게 어려운 기능은 아니지만 수요가 적어서요..
  • Lv30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수요가 없다고 생각하시는건 각자의 위치에서 생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무제한 요금제가 일반적일때는 데이터소모를 별스럽지 않게 생각했지만 최근 통화요금 소비도 합리적으로 바뀌면서 무제한이 아닌 것을 사용하는 사람도 많아진 듯 합니다.

    또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지 않는 사이트운영자는 솔직히 사이트운영에 너무 개인욕심만 있는게 아닌가 해요. 회원들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 같은 것은 구매로 이어져야 하는데 말씀하신대로 수요가 없다면 말이죠.

    하지만 저는 수요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이트운영자들이 모두 이정도의 자료를 구입하는데 아깝다고 생각지는 않을거라 믿어요.... 믿고싶.....
  • Lv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믿음을 유지하세요.... 지금 회사 프로젝트만 안 바쁘면 하루 정도면 할 수 있고 되게 재미있는 프로젝트인데 말이에요 ㅠㅠ
  • Lv30
    사실 이런 간지러운 곳 긁어주는 애드온을 만들어서 팔고 싶어도, 국내 판매 마켓 자체가 없어서... 그렇다고 사업자 내고 하기엔 비용이 너무 높고 XE마켓은 전혀 관리도 안되는데 수익 분배 떼어주고 싶은 플랫폼이 아니고 해서 판매를 주저하게 되네요...
  • 저도 클릭해서 실행하는게 좋은 방법 중 하나 라구 생각 합니다.
    유저와 트레픽 모두 이득인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