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구분이 안된다면 그냥 모든네트워크에서 gif 만 이미지를 불러오지 않고 유저가 원한다면 불러오는 것으로요. 제가 페이스북을 언뜻 보았을때 gif 이미지를 방문자가 선택해서 불러오게 처리하고 있는 듯 합니다.
gif 이미지가 많이 들어간 문서의 경우 이미지 용량이 20-30메가 인경우가 있는데 LTE 상태에서 그냥 글 읽다가 데이터소모가 완전 빠르게 되는걸 보고 글 읽기 겁난다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네트워크 구분이 안된다면 그냥 모든네트워크에서 gif 만 이미지를 불러오지 않고 유저가 원한다면 불러오는 것으로요. 제가 페이스북을 언뜻 보았을때 gif 이미지를 방문자가 선택해서 불러오게 처리하고 있는 듯 합니다.
gif 이미지가 많이 들어간 문서의 경우 이미지 용량이 20-30메가 인경우가 있는데 LTE 상태에서 그냥 글 읽다가 데이터소모가 완전 빠르게 되는걸 보고 글 읽기 겁난다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오오오.. 와이파이 구분하는 게 제공되는 군요?! ㄷㄷㄷ
아 생각해보니, 동영상 재생할 때 와이파이가 아니면 경고창 뜨는 게 있었던 것 같은데... 신기하네요 ㅎㅎ
HTML5가 대단하군요...
gif 입니다. 웹상에서 보여지는게 꼭 자기 서버에 것만 보여주는게 아니니까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듯..)
요즘 자주보이는 페이스북? 처럼 GIF를 썸네일로 대체하고 썸네일을 클릭하면 불러오는 방식이 가장 베스트일 것 같습니다.
용량 표시까지 되면 더더욱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