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의 경우 IP를 총 600만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략 백만개 정도를 이런저런 다른 용도로 쓰고

3G/LTE로 할당된게 5백만개 정도 되더군요.

5백만개가 적은 숫자는 아니지만... SKT 핸드폰은 그보다

훨씬 많지요. 우리나라 핸드폰 숫자가 6천만개 정도 된다고 하고

SKT 점유율이 42% 정도 되니까 대략 SKT 핸드폰은

2520만개 정도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 핸드폰들중 거의 대부분이 데이터 통신을 할테고

그럼 모두 IP를 필요로 할테니 실제 수요의 1/5만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그럼 도대체 어떤식으로 돌려막기를 하길래 겨우 1/5 만큼의

IP를 가지고 2500만개의 핸드폰을 운영할 수 있는걸까요..??

(핸드폰에 부여하는 IP도 제가 알기론 리얼IP인걸로 압니다...)

그나마 안쓸때는 꺼져있는 집인터넷하곤 다르게

핸드폰들은 거의 대부분 24시간 켜져있을텐데요...

이런 의문은 사실 집인터넷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쪽은 정확한 자료를 못구했지만..

어쨌든 인터넷 업체들이 가지고 있는 IP의 갯수가 실제 가입자 숫자에

훨씬 더 모자랄텐데 어떻게 리얼IP를 하나씩 부여해줄 수 있는걸까요..??

심지어 집인터넷의 경우 지역별로 IP대역대를 나눠서 부여해주는것

같은데... (IP가 바뀌더라도 뒷자리만 바뀌고 앞자리들은 안바뀌는걸 봐서)

그렇게 부여하면 필연적으로 비효율성이 발생할텐데 말입니다...

  • ? Lv9
    같은 지역 위치면 공유기처럼 기지국하나에 동일아이피로 돌리면 가능하지않을까요
  • Lv36

    클라우드플레어를 사용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에는 클플에서 IPv6를 활성화해 놓으면

    모바일 유저들 중 상당수가 IPv6 주소를 달고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LTE 무선네트워크에 IPv6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한 기업입니다.

    구글, 페이스북, 클플 이용 사이트 등 IPv6를 지원하는 사이트는 IPv6로 접속하고,

    그렇지 않은 사이트는 464XLAT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IPv4 주소를 공유하도록 합니다.

    가정용 공유기의 NAT 기능이 커피라면 464XLAT는 티오피... 급인데

    NAT와의 차이점은 사용자 기기에서 리얼IP를 받은 것처럼 보인다는 점입니다. 마법이죠...

     

    최신 모바일 기기만 지원하면 되는 LTE, 5G 네트워크는 IPv6를 도입하기에 유선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유선이라면 몰라도 모바일에서 IPv4 주소 고갈은 더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물론 사이트 운영자 입장에서는 전혀 무관한 사람들이 IPv4 주소를 공유하는 일이

    앞으로 점점 많아질 거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대형 커뮤니티에서는 IP를 차단했더니 엉뚱한 사람들까지 차단되는 현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으며

    https://github.com/xpressengine/xe-core/issues/2229 같은 보안취약점도

    IPv4 주소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실제 운영중 문제를 발견하여 제가 제보한 것입니다.

  • Lv36 Lv30

    모바일 접속자 ip로 차단하면 다른 엉뚱한 사람들 단체로 차단 될 수도 있겠네요 ㅎㅎㅎ
    하긴 기지국에 접속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일일히 다 공인아이피를 준다는게 미련한 짓일 수 있겠네요.

  • Lv7
    IPv4 시절에도 NAT 방식으로 제공했던걸로 기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