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많은 분들에 고생과 수고로움에 힘입은 다수 이용자의 관심으로 라이믹스가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집니다.
XE시절 후 맞이하게된 새로운 라이믹스의 시간.... 많은 기대가 됩니다.
바래봅니다.
XE시절의 몇몇 용어들과 라이믹스에서의 같은 내용의 다른 연결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여렵기도 합니다.
다만 초보자의 경우 또는 XE에서 우현히 라이믹스로 온 경우 어느정도 같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도 XE에 입문해서 아직도 초보 단계이지만 이제 라이믹스도 표준화된 한글을 사용하기를 기대 해봅니다.
외국의 많은 CMS는 그들의 언어로 만들어 졌으니 문제 없겠으나 초보 한국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또는 나름의 기준을 세워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1. 얼마전 의뢰 게시판에 회원 가입을 하고 의뢰를 드리려 했습니다. 문제는 아이디를 적으라고 나와서 아이디만 엄청 나게 조합고 결국 실패, 나중에 알고 보니 이메일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물론 이용자의 이해의 범위와 관리자의 이해의 범위 차이기는 하지만 저는 당시 라이믹스 버그이거나 혹은 다른 가벼운 문제로 그럴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도 회원 가입 당시의 이메일과 아이디는 같은거라고 말씀하신다면 일반인이 이해하기는 어려울수 있겠습니다. 제가 그랬으니까요! (이메일이 아디고 아이디는 이메일이다!) 분명 아이디를 적으라는 내용이었습니다.
2. 다른 분께 의뢰를 드렸습니다. 사이트 접근 관련 내용을 보내드려야 했습니다.
테스트 아이디를 만들었습니다. 문제가 발행합니다. 관리자가 이메일 로그인에서 아이디로 변환하면 로그인이 안됩니다. 저도 엄청 검색해서 "phpMyAdmin" 여기 까지 갔습니다. 문제는 초보자는 이 또한 어렵다는 거지요! (해결은 라이믹스는 기본적으로 "admin" 아이디 입니다. 버번 넣으면 되고요! 고수님들은 이런 초보의 어려움? 거의 패닉이 옵니다.)
조금은 더 친숙한 한국의 이름으로.. 물론 표현에 한계가 있어서 새로운 명명을 해야 할수 도 있겠습니다. 만
이제 스케치북의 게시판에 분류와 Category에 대한 부분입니다.
XE에서도 물론 각각의 의미를 전달하는 여러 설명들이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EX : 관리자 모드에서는 메뉴 편집
게시판에서는 Category
다시 게시판 관리에서는 분류
나름에 이유가 있어서 이겠지만 라이믹스에서는 이런 부분도 세심해지면 어떨까 싶습니다. 초보 입장입니다.
또는 애드온, 위젯, 모듈, 물론 고수님들은 어 왜 이걸 설명해야하지? 원래 그런건대..
다른 단어로 표현이 안되는데.. 안될것 같은대.. 할수 있겠습니다. 관련하는 설명이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초보자들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왜 이건 모듈을 개발할수 있는분에게 의뢰해야하고, 이건 왜 애드온을 개발하는 분에게.. 이건 왜 위젯을 개발하는 분에게.. 저도 그렇습니다. 그럼 누구에게 의뢰하지?
그런거 모르면 만지지마.. 어린 아이에게 카메라를 모르니 만지 말라고 하는건 아니잖아요? 비싸니까 건들지마는 이해 되지만... (고장나면 돈 드니까! 저도 소니 DSC-F717 사고 처음에 그랬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서 주니까 웃더라고요? 애플 핸드폰이 더 잘 찍히더라고요. 아직도 한곳에 잘 쉬고 계십니다. 아무도 안 쓴다는.)
XE타운에 어느분이 어떤걸 만듭니다. 태그.. 기타.... 무료로 배포도 해주십니다. 물론 공식 배포도 안돼는 부분도 있습니다. 또 많은 참고 글들도 남겨주십니다.
많이 고많습니다. 아 이런것들도 구현이 가능하구나... 또한 빠른 답변주시는 모든 분들께 고맙다는 말씀 드립니다.
라이믹스도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을 하기를 기대 합니다. 초보자가 쉬워야 개발자 분들도 발전 할수 있습니다. 아이는 일어서기를 할때 넘어지는 두려움을 함께 배우느걸로 알고 있습니다. 의뢰자 또는 일반 이용자는 어른이지만 이곳에서는 아직 어린 아이입니다.
여러 가지 부분에서 같은 눈높이의 의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일은 갤럭시 와치4 삼성 계정에서 지를겁니다. 와이프꺼하고 내꺼.. 오늘 삼성 프라자 매장 가니까 물건 없더라고요. 삼성이 또 대박인 것같습니다. 제가 5학년이어서 함 사려구요. 몇해전 밤새우다 폐혈관 터져서 죽었다 살아났습니다.
두서 없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푸념이지만 라이믹스에 많은 발전을 기대 하는 마음에 초짜가... 감히..
등록을 할까 하지 말아야 할까 고민 합니다.
XE타운에서는 보관된 글을 바로 발행 또는 게시할수 가 없는게 맞느거죠?
하여튼 메모장에 복붙해서 해봅니다. 임시 저장글은 발행 후 삭제합니다.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장글 발행.. 제가 못 찾는 건가요?)
사실 저도 아이디와 이메일이 따로 있는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첨엔 좀 헷갈리기도 했구요.
해외 사이트의 경우 이메일이 아이디면 따로 아이디 입력하라는 경우는 거의 없죠.
아니 전혀 없을까요? 국내 사이트에서도 XE 쓴 곳 말고는 아마 없을걸요...
XE/라이믹스에 아이디가 남아있는건 일종의 레거시, 과거의 유물인 셈인데
이메일을 아이디로 하는 최신 추세를 받아들인 것 까지는 좋은데
뭔가 확실하게 나눠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이메일을 아이디로 쓸거면 아예 아이디를 입력받지도 말아야겠죠.
사실 별로 어려운건 아닙니다. 아이디를 따로 입력 안받는 대신에
그냥 테이블의 아이디에 이메일 값을 넣어버리면 되니까요...
다만 그렇게 되면 사이트가 중간에 아이디 베이스에서 이메일 베이스로
바꾼다거나 반대로 바뀐다거나 하는건 불가능해지겠죠.
[기존에 아이디 기반으로 운영되던 사이트]가 스무스하게 이메일 베이스로
넘어가는 경우까지 케어하려다보니까 이런 이상한 정책이 나오는건데...
약간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