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샷 2024-06-11 11.23.07.png

최근 트래픽이 꽤나 높아졌는데,

비정상적으로 해외트래픽 사용량이 높아졌다고 나오길래 모니터링을 해봤는데

 

스크린샷 2024-06-11 11.22.13.png

메인서버는 고작해야 이 정도,

스크린샷 2024-06-11 11.22.34.png.jpg

이미지 캐시서버로 사용중인 두 개의 서버는 저 정도로 사용중이라 나옵니다.

 

이미지 캐시서버를 봐도 딱히 봇이 크롤링을 했다는 것으로 보이지도 않고, 메인서버도 매일마다 백업하느라 보낸(aws로) 것 제외하면 특별한 것은 없거든요.

 

그런데도 계속해서 해외 트래픽 때문에 말썽이라서.. 아마 한번 cloudv 쪽에 aws로 보내는 것을 해외 트래픽으로 간주하나 물어봐야 되나 싶네요..

 

  • profile

    네. 서버 위치 무관 aws(lightsail 포함) 트래픽도 해외로 간주합니다.


    대신 고객센터에 문의로 서버 아이피와 해당 아이피가 국내서버라고 보내면 국내로 처리해줍니다.(기존 해외로 잡히던것도 국내로 변경됩니다)

  • profile profile
    감사합니다! 이 것도 한번 고객센터에 문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profile

    1번 이미지서버에서 2번으로 캐시를 분배해 주기 때문에, 실제로 메인서버에서 AWS로 유출된 트래픽은 1번서버의 업로드 트래픽 중 일부인 120~130kbps가 전부일 것 같습니다. 종량제로는 하루 1.5GB 정도에 해당되죠. 매일 10GB 이상의 해외트래픽이 발생한다면 구글봇, 빙봇, 페이스북 크롤러, 일반적인 해외 방문자, 해외서버에서 파싱하는 놈;;; 등등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 중심의 커뮤니티에서 전체 트래픽 중 1/3~1/4이 해외트래픽으로 잡히는 것은 상당히 특이한 사례이긴 합니다.

    요즘 기준으로 cloudv 해외트래픽 제공량이 형편없이 낮기 때문에, 아예 모든 트래픽을 iwinv로 넘기거나 AWS를 경유시키는 분도 있습니다. 여기는 이름만 클라우드고 그냥 전통적인 서버호스팅 업체예요. 통신사와의 노예계약 때문에 뭘 바꾸기도 어려울 거고요.

  • profile profile
    흠.. 그렇군요 ㅠㅠ 안 그래도 최근 nginx access log를 보니까 구글 mediaparterbot이 만만찮게 접속하긴 하던데.. 해당 아이피만 깔끔하게 한번 차단을 해봐야겠네요 ㅠㅠ
  • profile ?
    MediaPartners-Google은 애드센스 검증용 크롤러입니다.
    ip로 구글 서버를 차단하면 검색도 사라질거에요...ㅋㅋ
  • ? profile
    검색이 아니라 광고가 사라지겠죠. 통장의 돈도 사라지고... ㄷㄷㄷ
  • ?
    아마 국내아이피라고 kisa에 등록된 옛날 리스트(아니면 aws가 등록을 안했던가)를 가지고 그외에 아이피는 해외아이피라고 분류하는것같더라구요.
    문의넣으면 처리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