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와 페이스북 같은 국가급 대형 사이트 이 외에

 

클리앙, 일베, 디씨, 네이버(카페), 네이트.... 대형 커뮤니티들(포털 사이트의 커뮤니티 포함)도 망사용료 내나요?

 

 

 

  • profile
    네이버 카페야 네이버에서 관리하니 카페관리자는 안내겠죠.
    대형 사이트들이 호스팅에 입주해 있으면 호스팅에서 기준 트래픽이 이상 나오면 그만큼 부과할것이고요.
    서버를 따로 전용망으로 빼서 쓰면 마찬가지로 트래픽 요금이 기준 이상이면 낼듯하네요
  • profile ?
    오~~ 그렇군요.
  • ?
    유튜브랑 페이스북같은 대형회사가 망사용료를 내게 되었나요??

    그걸떠나서 소형사이트들은 망사용료와 관계없을겁니다.
  • profile

    국내 사이트들은 국내 통신사에 이미 거액의 트래픽 요금(회선 임대 비용)을 내고 있습니다.

    해외 사이트들은 국내 통신사에 내는 돈이 한 푼도 없으니까 어떻게든 삥을 뜯으려고 하는 거죠.

  • profile profile

    국내 사이트들이 내는거 저는 정치적이나 이런것 뺀다면 내는게 병신 같습니다. 병신이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문제지만요.(국내 사이트들이 별도의 망사용료를 또 내고 있다면요..)

  • profile
    호스팅비용(여기에 트래픽 사용요금이 있죠.) 외 따로 각 통신사에서 인기있는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망사용료를 별도로 내라고 하는건 개소리 같습니다.

    너희들이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우리 KT 가입자들이 너희들 컨텐츠를 보는 사람이 급증해서 너희들 서버에 연결을 해주는라 우리 국제 트래픽이 대부분이 너희들 컨텐츠 보느라 소진된다. 그러니 너희들이 비용을 조금 보태라..

    망 서비스업체끼리 망연동 비용을 서로 청구하고 지불하고 계산해야 할 것을 컨텐츠 공급자에게 비용을 내라고 하는건 좀 웃기는 이야기 같습니다.

    인기 컨텐츠 제공자들이 호스팅을 하면서 무료로 하는 것도 아니고 그 트래픽에 걸 맞는 비용은 각자 이용하고 있는 통신사에게 귀속되도록 요금을 지불하고 있을 겁니다.

    국내 통신사들이 회선과 설비를 증설하자니 뭔가 배가 아프고 하니 저런 요구를 하는데 실제 망사용료를 내는 합의를 한후 지불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통신사가 다른 어딘가에 트래픽을 보내기 위해 회선이 모자란다면 그건 그 통신사가 상호접속을 추가로 확보해서 해결을 해야 하고 그것을 못한다면 가입자들로 부터 민원이나 평가를 받으면 그만입니다.

    그래서 특히 국제 트래픽이 문제가 된다면 자구책으로 국내에 인기 컨텐츠 서비스의 캐시서버를 적극 유치하거나 해서 완화할 수 있구요. 실제 그렇게 하고 있죠.

    망사용료를 내라고 하는건 뭔가 이중부과를 하는 것이고 그것 자체가 결국 최종 소비자에게 청구되는 상황이 벌어지겠죠.

    어느 컨텐츠의 급격한 사용량 증가는 분명 통신회사에서 원가가 증가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 컨텐츠를 만들어낸 대상에게 호스팅을위한 비용 외 전 세계 통신사 마다 각자 추가적으로 망사용료를 더 내라고 하는건 이치에 맞지도 않아보이구요.
  • profile profile

    여기서 약간 애매하게 되는 것이, 구글(유튜브)이나 넷플릭스처럼 전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수십%를 차지하는 대규모 콘텐츠 공급자들은 스스로가 망사업자나 다름없습니다. 자기들이 IDC 건설하고 해저케이블 깔고 다 하니까요.

    망사업자들끼리 상호접속 비용을 협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서로 각자의 고객에게서만 돈을 받아야 하는 것도 상식입니다. 다른 회사의 고객에게 직접 돈을 요구한다면 명백한 월권이지요. 그런데 콘텐츠 공급자가 곧 망사업자나 다름없게 되면 이 논리에 틈이 생기니까 그 틈을 타서 유명 사이트들을 볼모로 잡아 삥을 뜯으려는 것 같습니다.

    어느 통신사가 어느 콘텐츠 공급자에게 부당한 압력을 행사하든 말든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장에 압력을 행사할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A통신사는 유튜브가 느리고 B통신사는 넷플릭스가 안 된다면 소비자들이 알아서 불매를 하겠지요? 그런데 소수의 IT업계 종사자들을 제외하면 집에서 어느 회사 인터넷을 쓰고 휴대폰을 어느 회사에서 구입할지 선택할 때 해외망 속도 같은 부분은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솔직히 대형 콘텐츠 공급자들 중 누군가가 우리나라 통신사 하나쯤 뻑큐 날려버리는 선례를 만들어 주면 좋겠습니다. 어디 한 군데 갑자기 유튜브가 안 나와서 번호이동 건수 폭증하는 사태를 겪어봐야 정신을 차리지요. 이론적인 5G 최고속도만 광고하지 말고 실제로 주말 피크시간대에 유튜브 4K 콘텐츠가 얼마나 빨리 로딩되는지, 넷플릭스 렉은 안 걸리는지, 동일한 기기에서 페이스북이 얼마나 빨리 뜨는지로 경쟁해 보자구요.

  • profile profile
    구글(유튜브)이나 넷플릭스처럼 전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수십%를 차지하는 대규모 콘텐츠 공급자들은 스스로가 망사업자나 다름없습니다. 자기들이 IDC 건설하고 해저케이블 깔고 다 하니까요.
    ---> 여기에서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IDC를 갖는다 해서 통신사를 가지게 되는게 아닙니다.

    IDC에서는 통신사에서 회선을 사오는 것이고 이를 다시 입주한 서버 사용자들에게 재판매 하는 것입니다.

    구글이나 어떤 큰 컨텐츠 생산 제공 사업자도 공짜로 망을 쓰지는 않습니다.

    컨텐츠 사업자 취사 선택해서 KT에게 돈을 더 내라 하는건 이중부과이며 말이 안됩니다.
  • profile profile

    구글은 통신사가 아닌 회사로서 해저케이블을 부설한 최초의 회사라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하드웨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통신사들과 공동투자 형태로 별도 법인을 설립하여 그 법인이 케이블을 부설한 것이지만, 아무튼 이런 방식으로 구글이 상당한 지분을 가지고 있는 통신 인프라가 전세계의 바닷속에 수만km나 있습니다. 구글이 통신사는 아니지만, 몇몇 통신사의 대주주인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특정 사이트에 돈을 요구하는 것은 이중부과라는 말씀에는 100% 동의합니다.

  • profile profile
    네. 자신의 회사에서 서비스를 받아도 돈은 내죠. 대주주라고 무료로 해주지는 않잖아요. 통신사의 주인이 누구던 그건 이 문제와는 별개입니다.

    IDC를 가졌으니 무료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니 돈을 내야 한다는게 아니란거죠.
    구글도 합당한 돈을 내고 IDC에 설치된 서버에서 인터넷망으로 서비스를 내보내고 있다는 겁니다.
  • profile
    여담인데
    유튜브 같은 해외 사업자한테 요금 부과 하려고 하면 트래픽을 해외로 돌려 버릴겁니다.
    그러면 통신사는 막대한 해외망 이용료를 지불해야 됩니다.
    그래서 통신사에서는 요금을 부과 할수가 없죠 ㅎ
    그게 안되는 국내 사업자들은 꼼짝없이 돈을 낼수밖에 없구요 ㅎ
  • profile profile
    그거 내라는겁니다. ㅋㅋ 해외에 트래픽이 너희들 때문에 증가했으니.. 그래서 문제인거죠.
    국내에 캐시서버 설치하는건 자기들 피해 줄이려고 하는거구요.

    국내에 서버가 있어서 돈을 내라고 하는게 아니에요. 이중 부과 그러니까 우리한테 별도로 돈좀 내 이겁니다.
  • profile profile
    완전 날강도 마인드군요 ㅋ
  • profile
    망 사용료는 잘 모르겠고
    호스팅 업체를 사용하시면 기본 설치비와 설치 및 가입 후 트래픽 비용이 따로 청구되고.
    호스팅 없이 개인 장비로 서버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전기세&인터넷요금만 나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