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종종 웹서핑을 하다가 웹사이트의 폰트가 이뻐보여서, 크롬의 폰트 확인 툴이나 개발자 도구로 확인해보니
Roboto라고 지정이 된 경우를 보았습니다. 한국과 일본, 영어를 홈페이지 어디에서든 정말 Roboto 로만 지정되있는걸 보았는데,
이건 특정 폰트인가요? 아니면 Sans-serif 처럼 특정 체 계열로 자동으로 적용하라는 뜻인가요?
혹시 특정 체로 적용하는 뜻이라면 어떤 체가 지정이 되는건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폰트 이름이 roboto 입니다.
구글에서 무료 배포하고 있는 폰트라서 사용도가 많은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notosans 느낌)
숫자나 영문들의 가독성이 좋고 전체적인 모양새가 이뻐서 그런지 해외 템플릿들에 많이 쓰이더군요
국내사이트의 경우에도 숫자에만 사용하는것을 몇번 본적 있구요
아무래도 내용이 많은 한글폰트 보다는 영문폰트는 굉장히 가볍기 때문에
숫자같은곳에만 부분적으로 적용해도 괜찮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