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이트야, p와 br의 구분 없이 사용해서 잘 모르겠지만,

제 사이트는 p와 br을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알았습니다..

 

textarea(스케치북댓글)에서 엔터를 치면 p(문단)으로 구분하는데,

쉬프트 엔터로 치니 줄바꿈(br)로 인식하네요...

 

아마... 엔터가 \n 이라면... 쉬프트 엔터는 \r 이 아닐까...-_-;;

참으로 신기하군요... 이런 것까지 구분할 줄이야....

 

근데 제 사이트에서는 에디터에서는 엔터가 br이고 쉬프트엔터가 p라서..

통일된 경험을 제공할 수가 없네요... 애드온이나 이런 걸로 뒷단에서 서로 바꿔주는 역할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흐흐

아니면 출력할 떄 바꾸던가요..

  • shift+enter 의외로 자주 사용했습니다.
    XE 자료실 자료 설명에 사용되는 에디터도 구분이 있어 줄간격 조절할때 shift+enter를 종종 사용해요.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들도 enter와 shift+enter를 구분해서 그런거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 Lv16
    에디터에서 구분한 건 알았는데요~
    textarea에서도 구분하는 걸 첨알았습니다..-_-;
    예를 들어..요기 스케치북 댓글 달때 (에디터를 사용하지않고) 엔터와 쉬프트엔터를 구분합니다.

    다만, xetown에서는 p에 마진 값이 없어서 엔터와 br의 차이를 알 수 없을 뿐이죠..
  • Lv30
    카톡에서는 엔터를 전송으로 쓰면 줄바꿈 할때 시프트를 필수로 눌러야 하죠 ㅋ 무심코 엔터누르다가 할말 다 안했는데 전송되는 경우가 흔하죠 ㅋ
  • Lv30 Lv16
    그런 측면에서 ck에디터에서 두 기능을 바꿔놨는데 다시 원복하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네요..-_ㅠ;
    그래야 통일성을 갖출 수 있으니...말이죠..-_-;;
  • Lv15
    몰랐었는데 구분을 했었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Shift + Enter나 그냥 Enter 나 당연히 똑같은 동작을 하는 줄 알았는데,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