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서버(?) 쪽에서 감염? 되어서 사이트 접속만으로 랜섬웨어 걸려서 자료 날리신 분들이 많네요..

 

그런데도 뽐뿌 측에서는 즉시, 광고를 내리지 않고, 해당 사례가 없다면서 진위파악중이라는 글만 올려서

 

회원들이 분개하고 있네요...ㄷㄷ 걸린 증거를 내놓으라고...

 

이번엔 정말 위험해보이더군요.. 이미 게시판은 개판에.........

 

과연 이번에도 살아날지.......

  • Lv16
    사이트 접속만으로 랜섬웨어 걸리고 자료 날리신 분들
    정말 안타깝네요.
  • Lv19
    저번 클리앙도, 이번 뽐뿌도 플래시 취약점을 이용했다는데... 애드센스는 플래시 배너를 이미 HTML5 기반으로 교체했으니 타 광고사 광고를 달다 벌어진 일로 보입니다. 이제 플래시도 구버전 IE처럼 놓아줄 시기가 된게 아닐까 싶습니다.
  • Lv19 Lv16
    클리앙은 그래도 바로 광고를 내리는 듯 발빠른 대처를 했다고 하는데,

    뽐뿌는 문제가 된 광고를 현재까지도 내리지 않고 있다고..
  • ?
    그 랜섬웨어 걸린 디자인회사 대표님 보니 엄청나더라고요. 백업도 다 안됬다고 하시던데.. 이 사단이 났는데 사과 한번 안하는 뽐뿌도 좀 제정신이 아닌거 같습니다. 원래도 안하무인이긴 했지만
  • Lv37

    저는 파이어폭스에서 플래시를 click-to-play로 설정해 놓고 쓰고 있습니다. 특별히 허락한 사이트 외에는 플래시 실행을 금지하는 거죠. 몇 년 전에는 대부분의 사이트가 엉망으로 나왔을 텐데, 요즘 제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은 플래시를 꺼두어도 이용에 전혀 지장이 없네요. 모바일 덕분에 플래시가 설 자리도 많이 줄어들었나 봅니다.

     

    플래시를 켜지 않고는 도저히 볼 수 없는 사이트라면 광고차단 플러그인이라도 켜놓고 접속합니다. 사이트 운영자의 수익원이 아무리 중요하기로서니, 보안까지 포기하고 플래시 광고를 봐줄 필요는 없거든요. (이런 사이트는 검색하다 우연히 들어갈 뿐, 다시 방문하게 되지는 않더군요.)

     

    광고를 통해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사례는 해외에서도 비일비재합니다. 애드센스처럼 텍스트와 이미지, HTML5만으로 이루어진 광고가 아니라면 이제 모두 보안취약점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 Lv30
    광고를 온리 제가 포샵으로 그냥 이미지로 만든느 1인입니다 ㅋ
  • 뽐뿌는 정말 규모도 크면서 보안에는 신경을 안쓰네요..
  • Lv8
    지난번 회원정보유출에도 불구하고
    뽐뿌를 떠나지 않은 충성고객들한테
    빅똥을 던져준듯....
  • Lv8 Lv16
    그래서 흥미진진합니다.. 과연..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