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순간부터 못보던 점(dot) 하나가 PC버전/모바일버전 좌측 하단부분에 따라다니더군요...

 

본문등의 밝은화면에서는 안보이는데 어두운 부분이 나오면 보이는...

 

 

 

신경안쓰면 모를만도 하지만 본인 모니터의 불량화소는 주변 사람이 못찾아도

 

본인은 아주 잘 보이듯이... 점이 찍힌다는 사실을 알게되니 그뒤로는 그부분에 자꾸 신경이 쓰였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 dot놈의 정체를 찾아내었습니다 ㅡ,ㅡ;;

 

 

 

 

우선 어디서 점이 있느냐 라는 분을 위해...

 

1.jpg

많이 익숙한 화면이죠.. 네 XE타운 입니다. XE타운에도 작은 점이 숨어 있어요 ^^;;

잘 모르시겠다구요..?

 

 

2.jpg

좌측 푸터부분에 숨어있네요.. 작은 회색점이..

 

3.jpg

모바일의 경우에는 PC버전 보다도 좀더 잘 보이더라구요.. 기본배율의 차이때문인지...

 

 

 

저것의 정체를 찾기위해 F12 개발자 도구로 찍어보려해도.. 도통 작아서 안찍어지고

결국에 확대해서 찍어보니 찍히더라구요!

 

 

속성이 지정된 스타일시트를 따라가보니

common/tpl/common_layout.html 의 디버그버튼이 저 점의 정체였네요

 

4.jpg

 

위의 부분은 기존 XE사용하는 분들에게는 없는 부분일거에요

 

라이믹스에서 디버그로그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부분이였네요

 

 

왜 디버그 버튼이 권한도 없는 사람에게 보이는지 모르겠으나... div 영역인걸로 봐서는

버튼은 권한이 걸려있지만 div 자체에는 권한이 없어서 출력되는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신경쓰여서 안보이게 설정해버렸습니다. ㅎ

디버그 로그는 파일로 저장되도록 설정해놨기 때문에!

 

 

혹시 라이믹스 쓰시는 분들은 본인 사이트에도 좌측 하단부에 점이 있느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ㅎㅎㅎ

 

 

  • ?
    개발자도구로 들어가는것까지는 이해가잘되는데
    common/tpi/common_layout.html 인것과
    위에서 몇번째 줄인지는 어떻게 찾는거죠?
  • ?

    DD.png

    안보이면 이미지 클릭해서 확대후 보세요!

     

    해당 코드의 삽입점이 최상단 이라는 점 (코드 삽입이 최상단 이라는 이야기는 XE 혹은 라이믹스에서 공통적으로 초기에

    불러오는 부분이겠지요?) 그리고 CSS파일의 이름등을 보아 유추해낼수 있숩니다.

  • ? Lv37
    줄번호는 Notepad++ 같은 에디터에서 열면 다 보이고요... (메모장은 바보)

    찾는 건 폴더 내에서 검색하는 프로그램을 쓰셔도 되고 (이것도 대부분의 에디터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그냥 라이믹스 깃허브에서 검색하셔도 됩니다.
  • ?
    이렇게찾는것이군요. . 근데 죄송하지만 tpi가 어디에 표시되있는건가요?스샷을봐도 tpi는 없는데.. 여러번 질문해서 죄송해요..ㅠ
  • ? Lv37
    그건 화면에 안보입니다. 그냥 XE/라이믹스의 파일 구조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면 저런 코드가 발견되었을 때 제일 먼저 찾게 되는 곳이 common/tpl일 뿐이예요.
  • Lv37 ?
    아.. 그렇군요..ㅎㅎ 답변감사드려요!
  • ?
    개발자 모드에서 보는 HTML은 실제 화면에 보여지는 페이지에 대한 전체소스 입니다.
    따라서 include 된 경우 해당 HTML이 어디서 온건지 까지 파악하기 힘듭니다.

    위에서 기진곰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코어에 관련된 부분을 찾을때는 GihHub를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예를들어

    https://github.com/rhymix/rhymix/search?utf8=%E2%9C%93&q=%3Cdiv+id%3D%22rhymix_debug_button%22%3E%3C%2Fdiv%3E

    이런식으로 검색하게 되면 해당 구문이 들어간 파일의 이름과 위치를 조회할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 라이믹스 깃허브 이지만.. XE순정을 사용하시는 경우에도 XpressEngine에서 운영하는
    공식 깃허브가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당 깃허브에서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 ?
    상세하고 구체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 Lv37
    햐~ 눈도 참 좋으시네요.

    라이믹스 develop 브랜치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제는 디버그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display: none이 적용됩니다.
  • Lv37
    기진곰님 답변 감사합니다.
    Rhymix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XE에서는 중요한 픽스부분을 직접 해야되었는데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이슈들이 적용되어 있다는점
    그리고 여러가지 관리자 편의를 위한점들.. 기존 XE보다 확장성 등 아주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 Lv15
    이 글보고, 그 부분을 봤더니, 이제 보이네요..; 진짜 몰랐네요..ㅎㅎ 숨은 그림(?)찾기!
  • Lv16
    말씀하시기 전까지는 전혀 몰랐습니다.

    한 번 보이기 시작하니 이제는 계속 신경쓰이네요....-_-;
  • ?
    ㅋㅋㅋㅋ 숨은그림찾기
  • Lv8
    저걸 찾아내신 것도 대단하십니다. ㅎ
  • Lv12

    저거 점 저도 알고는 있었는데 ㅎㅎ 뭐 1x1 픽셀로 프레임같은거 넣어둔줄 알았더니 이거였군요.

    처음엔 제모니터에 불량화손줄 알았는데 XE타운꺼더라구요. ㅎㅎ

  • Lv4
    저런게 있었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