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선택하는데 쉽지가 않아서 의견을 구합니다.

 

여러이용자가 자기 블로그나 페이지를 올릴수 있도록 하는 medium.com, dev.to 같은 서비스를 구축해보려하는데..

제가 원하는 도메인이름 (영문 4자, 한글로 발음시 1자) 구입을 하려면..

 

.is / .to / .pro / .xyz / .page

 

이렇게 5개가 그나마 선택할만한 옵션같습니다.. 근데 page는 많이 안쓰는것 같기도 하고..
고민입니다.

 

끝에 L 또는 s를 하나 더 붙여서 5자로 만들면, .net, .app, .co .io, .me 도 선택이 가능하구요. (글로벌 대상으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com 은 5백만원, 천만원이라.. 당장구입 불가구요..

좋은 이름은 비싸거나 구입불가고, 가능한 짧고 읽기 쉬운 도메인을 만들려고 하다보니 쉽지 않네요.

 

질문을 다시 요약하면,

1. 영문4자로 했을때, .is / .to / .pro / .xyz / .page  중에 여러분의 추천은?

2. 위에 다 별로다. 차라리 영문5자로 해라 라고 생각하신다면, .net / .app / .cc / .co / .io 중에 여러분의 추천은?

3. 그리고 SEO 측면에서 (구글검색기준) 최상위 도메인 아무거나 문제가 없을까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 Lv37

    최상위 도메인까지 포함해서 하나의 단어처럼 느껴지도록 만들 수 있거나,

    아주 보편적인 의미를 가진 최상위 도메인이라면 괜찮습니다.

    예: 서비스 이름이 "홈페이지"이고 도메인이 home.page라면 OK

    예: 앱 이름이 "홈페이지"이고 도메인이 homepage.app이라면 OK

    변형으로 homepageapp.com도 있습니다. 앱이 있으면 아무도 뭐라 하지 않습니다.

     

    IT 분야에서 net, app, co, io, me, dev 정도까지는 그냥 귀엽게 봐줍니다.

    TV나 라디오 방송과 관련된 사이트라면 tv, fm, am도 좋습니다.

    본사가 위치한 국가의 도메인도 상관없습니다. kr로 글로벌 서비스 한번 해보시죠!

    그러나 그 밖의 도메인을 아무거나 갖다 붙이면 (위의 예처럼 찰떡궁합이 나오는 경우 제외)

    솔직히 "나 com 살 돈이 없어서 이거 했음"으로밖에 안 보여요.

    이런 회사들이 성공해서 투자를 받게 되면 제일 먼저 com을 삽니다. ㅋㅋㅋ

    pro나 page는 아예 대놓고 피싱사이트 같은 느낌이고요.

     

    돈을 쓰시라는 뜻이 아니고...

    최상위 도메인까지 포함해서 어감이 잘 나오는 아이디어를 찾아보시라는 얘기입니다.

    이미 있는 아이디어에 최상위 도메인을 그냥 추가하는 것이 아니고요.

  • Lv37

    굉장히 구체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기진곰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것 같아요. 피해야할것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선택에 많은 도움이 되겠어요!


    번외 질문하나 드리고 싶은데요, '쿨' 이라는 단어를 영문으로 표현한다면, cool 인데, 이건 도메인 구입이 거의 어려워보이구요, cul, cooll, 이거 둘중에 어느게 더 나을지요? cul 은 짧은대신 '컬' 같은 느낌이고, cooll 은 영어 문법에는 없지만, 브랜드 네임으로는 가능할것 같구요...

  • Lv37
    kool이 제일 자연스러운데, 이것도 이미 먹혔을 가능성이 높죠.
    coool, koool 등 o의 갯수를 늘려보는 것도 나름 괜찮습니다.
    l을 늘리면 잘 보이지도 않아요.
  • Lv37
    아하 o를 늘리는방법도 있군요. 감사합니다!
  • Lv24
    사람들에게는 .com 으로 끝나는게 더 낫습니다.

    .net .app .co .io 같은 도메인이 아무리 이름이 좋더라도 사람들은 결국 마지막 .com 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더 많은게 현실입니다..

    뭐 저는 이런부분을 경험이 없긴한데.. 굳이 4글자를 쓴다 하더라도 .is to pro xyz page 도메인의 메리트가 그닥 없어보이고요.. 차라리 사이트의 명확한 이름을 조금 길더라도 주소에 보여주는것이 나을 것 같아요.

    도메인은 어떤 도메인을 쓰시던 SEO는 문제 없을거예요..
  • Lv24

    답변 감사드립니다! 람보님

    com 이 좋긴좋은데 구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하아..

    람보님께도 번외 질문하나 드리고 싶은데요, '쿨' 이라는 단어를 영문으로 표현한다면, cool 인데, 이건 도메인 구입이 거의 어려워보이구요, cul, cooll, 이거 둘중에 어느게 더 나을지요? cul 은 짧은대신 '컬' 같은 느낌이고, cooll 은 영어 문법에는 없지만, 브랜드 네임으로는 가능할것 같구요...

  • ? Lv7
    o를 더 붙이는게 낫지 않을까요
    coooooool
  • Lv24
    제 3자에게 쿨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생각하냐.. 어떻게 만들면 좋을꺼냐 라는 질문은 상당히 잘못된게 아닐까 싶어요..

    단어만 봤을때 쿨이라는 단어가 뭔가 쿨하다 시원하다 느낌이 들어가지만, 실제로 사이트의 서비스에 맞는 내용을 쓰는게 더 좋거든요.

    님께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어떤느낌의 도메인이름을 하고 싶은지 등등을 조합해봐야 하는 조항이 아닐까 싶어요.

    예를들어 재밋는 움짤을 모아두는 용도의 사이트라면 gifnara 같은 도메인에 명확한 서비스의 이름이 묻어 나는게 더 기억하는데 좋겠지요..
  • Lv24
    아 죄송해요, 실제로 cool 을 쓸건 아니구요, 단지 제가 쓸려는 것과 비슷하여 예를 들기 위함이었고,
    제가 궁금했던 부분은, 뜻이아닌, 영어의 단어 배열 느낌, 발음의 느낌을 여쭤보고 싶었습니다.
  • ?
    서양권에서는 cool 을 kul 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 ? Lv8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0711 오래전 자료이긴 하지만 이런 자료들도 참고가 됩니다.

     

    더하기
     
    제품의 이름 및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더하여 이들의 음감을 좋게 하거나 기억하기 쉽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Ex) Any + Call ⇒ AnyCall (어디에서나 잘 터진단 의미)
     
     축약형
     
    제품의 속성을 잘 나타내는 어구나 문장, 키워 등을 축약해 만드는 방법입니다.
    Ex) Federal Express ⇒ FedEx , 곰팡이 + 제거(제로) ⇒ 팡이제로
     
     의인화
     
    상품을 의인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으로 소비자에게 친밀감을 주며, 효과적으로 캐릭터화 하는 방법입니다.
    Ex) 윤선생 영어교실, 미스터 피자
     
     중의법
     
    표시 및 관점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갖게 하는 방법입니다.
    Ex) 참존 = 참 좋은, Charm Zone
     
     유머형
     
    타겟의 이미지를 유머러스하게 표현하여 주목성, 차별성을 이끄는 방법입니다.
    Ex) 삽겹살 체인브랜드 ‘웃으면 돼지’
     
     의성법
     
    리드미컬한 음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품과 어울리는 음감을 이용하여 기억하기 편하고, 부르기 편한 이름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Ex) 유아복 브랜드 ‘앙떼떼’
     
     반복법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각적, 음성적 안정감을 주며, 감각적인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Ex) 봉봉, lOllOl(롤롤), 피자피자
     
     반전법
     
    반어적 표현이나, 제품과 전혀 상관없는 의미를 끌어와 화제성, 차별성을 주는 방법
    Ex) Poison(향수 이름), Death(담배 브랜드명), JAVA(프로그래밍 언어)
     
     대칭법
     
    대칭으로 시각화를 주는 방법으로 개성, 통일성, 감각적인 느낌을 주는 방법입니다.
    Ex) lOllOl, VOV, AVIVA
     
     숫자형
     
    숫자만을 이용하거나, 숫자와 문자를 혼용하여 네이밍 하는 방법
    Ex) 콘택600, 2080, 세븐일레븐
     
     연음법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발음이 쉽고, 상표등록에 이로운 효과가 있습니다.
    Ex) 누네띠네, 아나파약국
     
     인명,지명법
     
    인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과 현존 혹은 가상의 지명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Ex) 매치니코프, 앙드레 김, Romanson(시계로 유명한 스위스의 지역인 로만시온에서 따옴), 휴렛패커드(창립자인 휴렛과 패커드의 이름을 조합함)
     
     단어법
     
    브랜드의 컨셉과 성격을 보여줄 수 있는 키워드 단어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
    Ex) SKY(휴대폰), WHITE(여성청결용품)
     
     기호 및 부호 삽입법
     
    문자, 숫자 이외의 기호나 문장 부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젋은층 대상 브랜드에 많이 쓰입니다.
    Ex) pH 5.5(화장품), me:ll(화장품)
     
     문장법
     
    제품의 특성과 속성을 문장식으로 길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이 쉽게 제품의 특성 및 속성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Ex) 2% 부족할 때(음료수), 갈아만든 사과(음료수), 꽃을 든 남자
     
     중의법
     
    표시 및 관점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갖게 하는 방법입니다.
    Ex) 참존 = 참 좋은, Charm Zone
     
     영어, 국어 이외의 외국어 사용법
     
    신선함과 고급감을 주는 방법입니다.
    Ex) 쉐르빌(아파트명), 하겐다즈(아이스크림)
     
     접두, 접미사법
     
    접두사, 접미사를 이용하여 제품의 특징이나 속성을 표현하는 방법.
    Ex) daysys(화장품)
     
     유행어 이용법
     
    타겟층에 소구되는 유행어나 문장을 이용하여 네이밍하는 방법입니다
    Ex) 따봉(오랜지쥬스)
     
     호기심 유발형
     
    무의미한 철자의 배열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호기심이 강한 젊은 층을 대상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Ex) TTL(핸드폰)
     
     상징법
     
    브랜드 영역의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물건, 개념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Ex) 빨간펜(학습지)
     
     우리말 이용법
     
    순수 우리말을 사용하여 차별화 및 친근감을 주는 방법
    Ex) 풀무원(식품)
     
     두문자형
     
    의미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단어를 조합하여, 각각의 단어의 첫글자 만으로 네이밍하는 방법입니다.
    Ex) 노.찾.사(노래를 찾는 사람들), KFC( Kentucky Fried Chicken), 두타(두산타워)
     
     유추형
     
    다른 이름이나 단어로 부터 비슷한 점을 추출하여 만드는 방법으로, 동일한 제품군내 여러 브랜드가 있을 경우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Ex) Band-Aid ? Kitchen-Aid, Kool-Aid
     
     유머 소구형
     
    신선함이나 즐거움을 주기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재미있게 표현하는 방법.
    Ex) Yahoo! , 버르장머리(미용실)
     
     관념적 음소형
     
    암시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숫자와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을 가진 음성을 조합하여 만드는 방법
    Ex) V8(야채를 의미하는 Vegetable의 첫 철자와 8가지의 야채를 이용한다는 의미에서 8을 조합하여 만듬) 

     
  • ? Lv6
    도메인명은 com, net 도메인 확보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 Lv6
    마음은 그런데.. notion.so 같은것도 성공하는걸보면, 꼭 닷컴 닷넷이 아니어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 Lv2

    브랜딩을 도메인 명으로 하는것은 매우 좋은 전략이(었으)나... 

    이제는 네이버도 다음 검색창에 '네이버' 쳐서 링크 타고 들어오는 사람이 훨~씬 많은 시대입니다.
    (혹은 그 반대로 네이버 검색창에 '다음'을 검색)

    그나마 자주 방문하는 곳은 북마크.......

    그러다보니 "도메인에 집착하는 사람은 그 회사 사장님 밖에 없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현직 마케터로서, 차후에 마케팅까지 고려 한다면
    .kr
    .co.kr
    .com
    이면 됩니다. 실제 도메인 명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익숙하지 않은 도메인은 악성사이트로 오해되거나, (오래갈거같지 않은) 신생업체 혹은 테스트 사이트로 보입니다.

    정말 기억에 남고 싶다면 차라리 한글 도메인이 낫습니다. (역시 마케팅 적으로는 절대 비추입니다)

     

    PS. 그나마 선택지 중 택1 하라면 :  .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