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몰락.png

 

 

영업비밀과 같은 사이트의 어떤 글이 검색에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된 검색을 통해 들어오는가를 모니터링을 합니다. 뭐 모니터링만 하지 뭐 특별히 그에 관련된 글을 작성하지는 않아요. 관리자 역할만 합니다.

 

아 이 글을 쓴 건 위와 같은 내용이 아니고 오래전 부터 다음이 이렇게까지 몰락을 할 일인가? 에 대한 의구심이 많아서 그냥 글을 써봤습니다.

 

나름 네이버의 약진에 의한 시장 잠식이긴 하지만 구글의 경우는 그래도 나름 다른 컨텐츠를 키워서 선방 정도는 하는데 다음은 돌파구 자체를 만들지 못하는 것 같아서 역량의 차이를 느낍니다.

 

실시간 50개 항목중 다음에 의한 유입은 1개 네요.

  • Lv37
    다음은 이미 오래 전에 웹검색을 포기했지요.
    카톡, 카뱅, 택시, 멜론 등 자체서비스가 핵심입니다.
    검색 유입으로 평가하면 처참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 Lv37 Lv30

    네. 오래전 두손두발 다 들기 전에는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잆죠.

    그런데 검색수요가 결국 자신들 서비스 소비해줄 수 있는 대상인데 의아합니다.

     

    구글의 경우도 다음과 비슷한 상황이였지만 유튜브컨텐츠의 힘을 키워 그 유입자들을 검색까지 이용하게 만들었는데...

  • Lv30 Lv19

    네이버는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카페, 지식인 등 자사 서비스가 모두 잘나가는 상황이지만 다음은 이미 지식인에 해당하는 다음 팁을 종료했고 다음 블로그나 카페 역시 인지도가 매우 낮습니다.

    이 상황에서 굳이 웹검색 점유율을 높이려 투자를 할 필요성이 없는거죠. 다만 샵검색이라고 카카오톡 내 검색 서비스가 다음 검색을 사용하기에 없어지진 않을겁니다.(어쩌면 위 통계에 잡힌 다음 검색 유입도 샵검색 유입일수 있습니다. 샵검색 주소도 m.search.daum.net을 사용합니다)

  • Lv19 Lv30
    어찌 되었던 다음에서는 대한민국 웹검색 시장은 포기 한 듯한 느낌은 지울 수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