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사이트 + 월방문자 100만명(한국인) 기준일 때
VPS로 해도 잘 돌아갈까요?
아니면
Dedicated로 해야 할까요?
제가 걱정하는 부분은 월 100만명 정도 방문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이트가 안느려지길 원합니다.
물론 비싼
클라우드+서울 리전 가격이 있겠지만,
이 정도면 VPS로도 커버가 가능한지 문의합니다.
커뮤니티 사이트 + 월방문자 100만명(한국인) 기준일 때
VPS로 해도 잘 돌아갈까요?
아니면
Dedicated로 해야 할까요?
제가 걱정하는 부분은 월 100만명 정도 방문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이트가 안느려지길 원합니다.
물론 비싼
클라우드+서울 리전 가격이 있겠지만,
이 정도면 VPS로도 커버가 가능한지 문의합니다.
VPS도 웬만한 단독서버보다 사양이 더 높은 괴물같은 상품이 있고...
단독서버도 VPS보다 못한 사양, 10년 넘은 중고 부품을 사용한 상품이 넘쳐나는 상황이니
구체적인 사양을 언급하지 않고서는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입니다.
3가지 가격은 언제적 얘기인가요? 요즘 많이 쓰는 i모 업체만 해도 월 4천원대부터 25만원대까지 다양한 VPS 상품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최소한의 사양을 먼저 판단하시고, 거기에 맞는 상품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후 필요에 따라 사양을 늘려가시면 됩니다. VPS의 가장 큰 장점이 그때그때 업그레이드가 쉽다는 거잖아요.
https://xetown.com/topics/1184640
비교 대상인 물리적 서버와 코어/쓰레드 수 및 클럭이 대등하다는 가정 하에 그렇지요.
VPS 호스팅에 많이 쓰이는 E5 계열의 CPU는 클럭이 대체로 낮기 때문에
E3-1230v5와 같은 4코어 8쓰레드 단독서버와 경쟁하려면 가상 12코어는 되어야 합니다.
외국에는 hdd지원안되고 풀 ssd만 지원하는 곳은 그렇더라구요 hdd지원이안되면 엄청비싸지더군요
단독서버는 hdd임대비용이 2T추가해도 만원 이만원 선이라서요 hdd도 무조건 되니깐요!
백만명이 특정 시간대에 많이 몰리게 되고 그 특정시간대에 동접 몇명정도가되는지가 관건이겠죠.
개인적인 견해로 VPS(클라우드일경우)쓸 경우에도 동접에 상관없이 사양만 괜찮다면 서버운영에는 문제가 없으나 하드웨어를 많이 커스텀해야할 경우 vps 보다는 일반 서버렉이 필요할 경우가 생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