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호스팅 회사에서 백업을 날마다해주니 백업에대해 딱히 신경쓰고있지 않았는데 개인서버를 설치해서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에 만든 사이트를 올려서 운영하고있는데 백업을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입니다
먼저 해보려고 했던건 구글 드라이브에 db랑 sql 백업해서 보내는거였는데 이건 딱히 의미가 없다고해서
다른방법으로 백업할 방법을 찾아보려고하는데 우리 xe타운 회원분들은 백업을 어떤식으로 진행중이신가요?
예전에는 호스팅 회사에서 백업을 날마다해주니 백업에대해 딱히 신경쓰고있지 않았는데 개인서버를 설치해서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에 만든 사이트를 올려서 운영하고있는데 백업을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입니다
먼저 해보려고 했던건 구글 드라이브에 db랑 sql 백업해서 보내는거였는데 이건 딱히 의미가 없다고해서
다른방법으로 백업할 방법을 찾아보려고하는데 우리 xe타운 회원분들은 백업을 어떤식으로 진행중이신가요?
구글 드라이브든 드롭박스든 "사이트를 통째로 압축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서 올려야 하는 방식은
사이트 용량이 몇기가 이상 된다면 절대 비추입니다.
대용량 압축파일을 만드느라 서버 부하 올라가고, 그걸 해외서버에 업로드하느라 트래픽 발생하고,
파일 하나라도 복원하려고 하면 통째로 다운받아서 원하는 파일을 찾아야 하고...
실제 백업 및 복원 시나리오에서 전혀 도움이 안되는 방식입니다.
레이드0 구성으로 서버를 만드셨다면 그 서버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 거나 다름없습니다.
(레이드0 + 백업서버) = (0 + 백업서버) = (백업서버밖에 없음) = (사실상 백업 없는 셈)
다른 파일서버에 백업을 해도 그 서버도 마찬가지로 백업을 해야되는건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두가지 과정을 거치는것 보다는 구글드라이브 무제한 계정을 이용해서 백업하고 있습니다.
여기 댓글에서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https://github.com/vitalif/grive2
오래된 글이긴 하지만 아래 글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idchowto.com/?p=37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