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호스팅 회사에서 백업을 날마다해주니 백업에대해 딱히 신경쓰고있지 않았는데 개인서버를 설치해서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에 만든 사이트를 올려서 운영하고있는데 백업을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입니다

 

먼저 해보려고 했던건 구글 드라이브에 db랑 sql 백업해서 보내는거였는데 이건 딱히 의미가 없다고해서 

 다른방법으로 백업할 방법을 찾아보려고하는데 우리 xe타운 회원분들은 백업을 어떤식으로 진행중이신가요?

 

  • ?
    어차피 구글 드라이브를 쓰신다면, gdrive라는 걸 이용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https://github.com/vitalif/grive2

    오래된 글이긴 하지만 아래 글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idchowto.com/?p=37648
  • ? ? Lv4
    감사합니다 ^^.. 근데 밑에 기진곰님 의견대로 실제 백업 및 복원 시나리오에는 도움이 안된다고 해서 다른 방법을 찾고있습니다 ㅠ
  • Lv37

    구글 드라이브든 드롭박스든 "사이트를 통째로 압축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서 올려야 하는 방식은

    사이트 용량이 몇기가 이상 된다면 절대 비추입니다.

    대용량 압축파일을 만드느라 서버 부하 올라가고, 그걸 해외서버에 업로드하느라 트래픽 발생하고,

    파일 하나라도 복원하려고 하면 통째로 다운받아서 원하는 파일을 찾아야 하고...

    실제 백업 및 복원 시나리오에서 전혀 도움이 안되는 방식입니다.

  • Lv37 ? Lv4
    레이드0 구성으로 서버를 구성하고 외부에 백업서버 따로운영하는것도 안정적인가요?
  • ? Lv4 Lv37

    레이드0 구성으로 서버를 만드셨다면 그 서버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 거나 다름없습니다.
    (레이드0 + 백업서버) = (0 + 백업서버) = (백업서버밖에 없음) = (사실상 백업 없는 셈)

  • ?

    다른 파일서버에 백업을 해도 그 서버도 마찬가지로 백업을 해야되는건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두가지 과정을 거치는것 보다는 구글드라이브 무제한 계정을 이용해서 백업하고 있습니다.

  • ? Lv37
    구글드라이브도 백업을 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죠. 실수로 날리기 얼마나 쉬운데요 ㅋㅋㅋ
    원래 백업은 2개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onsite 하나, offsite 하나...
  • Lv37 ?
    저같은경우는 구글드라이브를 한번 올려놓으면 잘 건드리지 않다보니 그렇긴 했는데 기진곰님 말씀을 들으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참고하겠습니다.
  • Lv30
    라이트세일 백업서버 운용합니다.
    매일 새벽 변경된 파일만 전송해서 날짜별(10)로 구분하여 저장해 줍니다.
    물론 서버 구성은 제가 직접 하지는 않았습니다.
  • Lv30 ? Lv4
    라이트세일 백업서버는 aws 말씀하시는건가요? 한달에 비용은 어느정도 나오시던가요?
  • ? Lv4 Lv30
    백업할 양이 많지 않다면 5불 짜리로 충분합니다. 트래픽도 월 2테라가 덤으로 생기죠.

    저희는 캐시서버 5불 + 백업서버 5불 인데.. 총 트래픽이 월 4테라가 생겨 캐시용도로 다 쓸 수 있습니다.
  • ? Lv3
    그렇게 자주 하지는 않습니다..
  • ? Lv3 ? Lv4
    아무리 공들여 사이트를 키워도 아무래도 하드웨어적이나 소프트웨어적 문제때문에 데이터유실이 발생하면 한순간에 와르르 무너질수 있다고 생각해서 백업은 자주해야 좋은거같습니다
  • ? Lv4 ? Lv3
    충고 감사합니다! 7일에 한번씩은 꼭 하도록 하겠습니다
  • Lv5
    그냥 블록스토리지로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만 하면 안전하지 않나요..?ㅎㅎ
  • Lv5 Lv30
    같은 회사의 공간에 저장하면 소용 없을 확율이 존재합니다. 교훈)나야나 랜섬웨어 사태
  • Lv30 Lv5
    하긴.. 그렇긴 하네요
  • ? Lv3

    여기 댓글에서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 저도 자주 하진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