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png

 

 

저희는 사이트의 연혁내지는 히스토리를 걸어온길 이라는 이름으로 페이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름 운영자로서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이벤트를 타임라인 형태로 나열해 놓은 곳 입니다.

 

 

2015년 선택적ssl 을 항상사용으로 하면서 나름 기쁜 맘에 저곳에 역사로 남겼었네요.

 

사실 개발능력이 없는 저희 같은 운영자들은 시행착오를 많이 겪으면서 조금씩 성장합니다. 처음에는 사이트 만들기는 쉬우니 ssl이 뭔지도 모르고 사이트를 먼저 개설합니다.

 

그리고 이곳 저곳 기웃거리다보면 ssl을 적용하면 보안에 좋다고 하니 가장 쉬운 선택적ssl 을 적용하게 되죠.

 - 여기에 포트번호까지 붙여서 하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희가 그랬습니다 ㅋㅋ

 

 

이후 조금더 운영하다보면 아마 부분적 ssl 보다는 사이트전역에서 모두 ssl을 사용하는 것을 하고 싶은 맘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처음에는 주저하거나 포기하고 말죠. 왜냐면 약간의 산을 넘어야 하는데 그 산이 너무 높아보여서 포기하곤 합니다.

 

저도 저시절 나름 큰 맘을 먹고 진행했던 것 같습니다.

아래 질문에 제가 답변했던 것 중 "비용을 지불하고" 라는 부분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의뢰를 하지 않는다면 운영자가 조금 고생스럽고 위험한 시도를 하게 되는데 저도 나름 질문을 통해 제가 해야 할 일들을 미리 알아둔 다음 시행했습니다.

 

물론 db에서 기존의 게시물등에  들어가 있는 주소를 일괄적으로  https 로 바꾸는 이런 작업은 할때마다 조심스럽고 겁이 납니니다. 하지만 최악은 백업으로 복구한다는 생각으로 하면 사실 못할 것도 없는 일이죠.

 

그리고 사이트를 이것 저것 해본다고 수정을 안하면 차라리 이럴때 덜 귀찮은데 뭔가 많이 이것 저것 붙여 놓으면서 사이트 내부에서 불러오는 것의 주소를 하드코딩하여 적어 놓았다면 이런 부분도 "안전하지 않음" 이 눈에 보여 찾아서 다 고쳐야 하는 수고의 과정도 거치게 됩니다.

 

그래도 다 하고 나면 나름 이 일을 했던 그때를 기록으로 남길만한 그런 이벤트였다 라는 나름 뿌듯함과 보람이 느껴지는 작업입니다.

  • Lv15
    개발자인 제 입장에서는 뭐 대강 하면 되겠지 하겠지만.....
    html 태그도 모르는 분들에겐 너무 큰 산이겠죠. -0-;;;;;;
    그렇다고 비용을 지불하고 진행하자니 아까운 생각도 들구요.
  • Lv15 Lv30

    뭐 각자 상황에 맞게 진행해야 하는 것이죠. 저는 좀 생각이 달라서요. 나름 안전한 곳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제공할 수 있어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아서요. 다 입장마다 아깝고 그렇지 않고 차이가 나니 그건 개인의 문제일 것 입니다.

    참고로 저도 개발자의 ㄱ과도 관련 없는 일반 사용자입니다. 

     

    html은 물론이고 배운적은 전혀 없어요. 그냥 구글 검색이나 다른 분들 것 보고 ...   이게 배운건가요 끙.....

  • Lv30 Lv15

    이미 개발자 마인드를 가지고 계시잖아요.
    html코드와 css가 눈에 들어오면 시작인거죠.
    모르는 사람은 하얀건 배경이요, 까만건 의미없는 꼬부랑 글씨들이니까요.

    게다가 if문도 알고 계시니 절반은 넘어가신 거죠. 하하하하

    ssl자체는 어디서 하든 비슷한 비용이고 1년에 몇만원 내외겠지만
    그걸 사이트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추가비용을 들여야하나?하는건 다른 문제라고봐요~
    또 얼마가 들지도 모르니 막막하기도 하죠.
    ssl은 몇만원인데 의뢰하면 몇십, 몇백만원드는거 아닌가? 싶기도 할테구요.
    더군다나 사이트에서 어떤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곳이라면 더더욱.....-0-;;;;;

  • Lv15 Lv30
    네. 그렇게 어려운 산으로 생각하실까봐 그냥 제가 꼬꼬마 시절 ssl 전체적용할때 경험을 적어본거에요~~
  • ?

    2105? 2015년 이시지요?^^ 저희도 서버에 SSL용 인증서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여간 까다로워서 내년에 갱신해야하는데 벌써 걱정이 앞섭니다. 피씨에서는 인증서 갱신이 쉬운데 리눅스 서버에서는 예를 들면 미디어 서버 프로그램도 돌릴 경우 웹서버 뿐만 아니라 그 서버 프로그램에 별도로 설정을 해줘야 해서 스트레스가 많습니다. 이런 것을 쉽게 할 수 있는 뭔가가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 Lv30

    저희는 3개월마다 갱샌해야 하는 let's encrypt 인증서를 사용합니다. 서버에 crontab에 만료 1개월 전에 갱신을 시도하는 것을 등록하면 자동으로 연장해줘서 편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 Lv30 ?

    저희는 PG사에 인증서 결제하고 이메일로 도착한 키를 이용해서 인증서 생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crontab으로 자동으로 된다니 어떻게 하는지 매우 궁금합니다.

  • ? Lv30
    https://letsencrypt.org/ 는 꽤나 유명한 무료 인증서 서비스 입니다. 살펴보시면 공익적 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구요. 주도하는 곳들도 보시면..

    이 곳에서는 봇으로 갱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지금 운영하시는 서버에 뭔가 설치가 자유로운 서버 이시라면 이런 봇을 설치하시고 crontab으로 이 봇으로 갱신하는 것 1줄을 등록해 놓으면 예약된 일정에 갱신을 요청합니다.

    해당 인증서 사용과 갱신 등은 구글검색을 하시면 많이 나옵니다.
    단 저처럼 알아서 하려면 서버(최소 가상서버)를 직접 운영하셔야 하구요.

    요즘은 호스팅사에서도 이 인증서를 무료로 제공하고 사용하기 쉽게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 Lv30 ?

    아...무료 인증서도 있군요. 저희는 서버에 2년짜리 유료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운영중인 서버 중 하나는 아직 SSL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이것을 이용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v30 ?

    위 사이트를 둘러보니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Let's Encrypt 가 CA로서 키를 보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군요.
    별도로 키를 보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여 소규모 서버나, 웹호스팅을 이용할 때도 적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