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 하시나요?

 

사이트를 일반인이 만들고 운영을 하면서 최소한 배워야 할 건  html과 css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디테일을 놓치기 싫다면 최소한 html과 css는 배워햐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려운 기술도 아니고 읽어만 봐도 누구나 다 이해를 할 수 있기에 기본상식 수준에서 접근이 가능하기도 하구요.

 

혹시 본인이 만들고 운영하는 사이트의 사이트 전체적으로 통일된 디자인을 유지 하시나요? 거창하게 테마를 가지고 있진 않아도 방문자가 당연히 예측할 수 있는 글자크기,서체 등이 사용되고 있나요?

 

컨텐츠를 보여주면서 혹은 사이트의 글을 작성한다던지 어떤 행위를 할때 그것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답답하거나 불편하게 여백이 처리 되었다던지 혹은 그 여백이 같은 페이지 내에서도 일관성이 없어 예측 가능하지 않은가요?

 

같은 페이지에서 조차 컨텐츠 단위별로 디자인이 전혀 다른게 그냥 막 배치가 되나요?

 

이용하면서 불편함이 없이 잘 만들었네. 라고 느껴지는 사이트들은 제가 극히 일부만 언급한 위와 같은 것이 단 한개도 보이지 않을겁니다.

 

좌,우 여백이 다르거나 혹은 항목별로 여백이 달라 페이지 내에서 읽어 내려가다 보면 좌우 여백이 들쭉날쭉 하고 그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단 1픽셀의 차이도 나지 않게 그리고 서로 다른 자료를 설치해서 배치하더라도 글자 크기도 1px의 차이도 없이 통일되게 서체도 통일되게 여백의 색상등 모두 일관되게 고쳐서 한사람이 만들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었을때 방문자는 아마도 사이트가 제법 제대로 잘 만들어졌다는 느낌 그리고 컨텐츠를 보기 전에 신뢰를 더 갖게 되는 느낌을 가지게 될 것 입니다.

 

반면 이런 것을 전혀 신경쓰지 않고 여러 자료를 그대로 설치한 사이트를 둘러보면 오래 걸리지도 않고 급조하거나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만들어준 사이트인가 라는 생각도 하게 될 수 있을 것 입니다.

 

제가 말한 디테일은 사실 굉장히 어려운게 아니고 난이도 면에서는 가장 쉬운 일 입니다.  html,css 정도 검색해서 하는 것이라 비 개발자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영역이죠. 다만 그것을 할 필요를 느꼈는지 아닌지의 차이 일 수 있구요. 하려면 거기에 내 시간을 할애해서 뭔가를 해야 한다는 귀찮은 일인 것이죠.

 

저도 사실 고쳐야 하는 부분을 고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는 것들이 제법 있지만 혹시 이런 생각을 단 한번도 해보지 않으셨던 운영자 분 이시라면 지금 한번 가서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둘러보시고 글 쓰기 화면도 보시고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신다면 각 서비스의 화면을 방문자 입장에서 한번 검토해 보세요. 

글쓴이 웹지기

profile
10년을 다루다 보니 이제 간단한 것도 만들고 커뮤니티 운영에 관한 다양한 노하우가 있습니다. 어려운 점이나 가지신 생각을 함께 소통해 보아요.
https://rxtip.kr/ 라이믹스 꿀팁
  • profile
    백퍼 공감합니다.
    사실 웹이 아니더라도 거의 모든 분야에서 국룰인 거 같아요.
    명품은 작은 차이가 만들기도 하니.
  • profile
    #000
    #애매한 검은색(이거 맞나 모르겠네요)

    이 2개가 통일이 안되서 하나 하나 수정하긴 하지만
    솔직히 완전시 세세히는 신경 쓰지 않았지만 웹지기님의 말씀을 들으니 한번더 수정해야겠네요.
  • profile profile

    라이믹스라면 scss를 쓰시면 이런 종류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common_black: #141516;
      $common_border_radius: 4px;

      .header {
        color: $common_black;
        border-radius: $common_border_radius;
      }


    이렇게 위에서 선언한 변수를 갖다쓸 수 있으니까요.
    공통 파일에서 선언한 변수나 함수를 여기저기에서 인클루드하여 쓸 수도 있고요.
    색상 테마를 조정하더라도 변수 하나만 바꾸면 일괄적용됩니다.^^

  • profile profile
    정말 좋은 정보인것 같습니다!
  • profile
    맞아요..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