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홈페이지 수정작업을 웹서버(시놀로지 웹스테이션)에서 직접 하다가

최근에 로컬에서 작업후 웹서버로 적용을 할려구 합니다.

그래서 검색후 xampp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설치후 테스트 중인데 뭔가 경로가 맞지 않습니다.

 

image.png

 

시놀로지 웹서버의 파일들은 xampp의 htdocs 폴더 아래에 별도의 폴더를 만들어서 붙여넣기 해 주었습니다.

DB도 다운받아서 그대로 적용을 해주었구요.

image.png

 

그리고 Config에서 경로를 수정하였습니다.

 

image.png

image.png

 

이렇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경로문제가 생겨더군요. 현재 서칭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했지만 

도저히 답을 찾지 못해 이곳에 문의를 드립니다.

 

아래 이미지는 시놀로지 웹서버에 있는 제 홈페이지입니다. https://realpano.net

보시는 바와 같이 모든게 잘 작동중입니다.

image.png

 

하지만 xampp를 실행하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경로가 안 맞아서 이미지가 엑박으로 표현됩니다.

image.png

 

화면의 의료를 클릭하면 로컬페이지로 이동은 합니다.

image.png

image.png

 

 

하지만 게시글을 클릭하면 로컬이 아닌 시놀로지 웹서버의 링크로 이동을 해 버립니다.

image.png

image.png

 

어떻게 하면 xampp의 환경을 시놀로지 웹서버의 환경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나요?

라이믹스 내의 관리자 모드를 수정해야 하는건가요? 아님 xampp config 환경을 수정해야 하는건가요?

 

image.png

 

xetown 유저분들 중에 xampp를 사용하고 계신분이 있으신거 같은데 다들 어떻게 환경을 셋팅하여 사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tachment
첨부
  • Lv37

    사이트 주소가 realpano.net에서 localhost로 바뀌었으니
    도메인을 변경한 것과 마찬가지로 취급해야겠지요.

    https://rhymix.org/manual/introduction/domain-change

    혹시 웹서버에서 ./files/cache 폴더까지 복사해 오셨다면 그것도 삭제하시고요.
    예전 서버의 캐시가 남아 있다면 자꾸 예전 서버로 연결됩니다.

     

    xampp와는 무관한 문제입니다.

  • Lv37 Lv4
    캐시 폴더를 삭제한 후 새로 접속을 해봐도 같은 현상입니다. 특히 로컬에서 로컬 관리자 모드로 진입이 안되고 시놀로지 웹서버로 연결이 되어 버리네요. 이런경우 어떻게 도메인을 변경할 수 있을까요?
    UPDATE rx_domains SET domain = 'to.com' WHERE domain = 'from.com';
    이건 어디서 실행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Lv4 Lv37
    xampp에서 제공하는 DB 관리툴(phpmyadmin)이 있을 거예요.
  • Lv6
    질문과 다른 내용인데요
    시놀로지 웹스테이션에서 환경을 옴기시려는 이유가 뭔지요?

    저는 5년여간 시놀로지 웹스테이션으로 문제 없이 웹서버를 돌려왔구 지금도 운영중 입니다

    서버 사용량(접속자)이 늘어서 옴기시는건가요?
  • Lv6 Lv4
    시놀로지 웹서버는 실제로 운영되는 사이트라 바로 파일을 수정하는 작업이 부담이 되어서
    xampp 환경에서 파일 수정작업을 한 후 문제가 없으면 시놀로지 웹서버로 옮겨 사용할 목적입니다.
    현재 만들어준 사이트가 절대주소, 상대주소값이 잘 못 된것인지 모르겠지만 문제가 많네요.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데 어쩌면 더 빠르겠다는 판단이 들어서 새로 작업을 해 볼까 합니다;;;
  • Lv4 Lv6
    단순히 웹사이트에 적용되는 html, php등 파일만 수정하시는거라면 , 시놀로지 웹스테이션내 테스트 계정 하나 더 만들어서 그쪽에 적용해보시고 문제 없으면 정식 계정에 업로드하시는것도 있는데

    서버 환경을 변경하시는 문제로 xampp 환경에서 하시는걸까요?
  • Lv6 Lv4

    시놀로지 웹스테이션 테스트 계정을 하나 더 만들어서 해볼려구 했는데 테스트 계정조차 온라인에 오픈되는거 아닐까요? 외부로 off 된 상태에서 수정할 수도 있나요? 추가로 도메인도 연결해야할 거 같은데. 도메인 없이도 테스트 계정으로 작업할 수 있으면 시놀로지 웹스테이션에서 테스트 계정으로 작업하는게 더 편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 Lv4 Lv37
    그럴 때 쓰라고 사이트 잠금 기능이 있죠. ㅎㅎ

    도메인은 이미 하나 갖고 계시니, 서브도메인을 무한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dev.example.com이나 test.example.com으로 접속하면 개발중인 버전을 몰래 엿볼 수 있는 사이트가 은근히 많아요.
  • Lv37 Lv4

    오호.... 서브도메인은 어떻게 추가하는거죠? 제가 도메인 구매한 곳에서 하는건가요? 아님 시놀로지에서 추가할 수 있는건가요?

    만일 서브도메인으로 구축중인 사이트와 DB를 공유할 수도 있을까요?

  • Lv4 Lv3
    서브도메인은 메인 도메인의 DNS 업체에서 A레코드를 추가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ㅎㅎ
  • Lv3 Lv37

    물론 시놀로지에서도 해당 서브도메인을 인식하여, 운영중인 사이트가 아닌 테스트 계정으로 연결하도록 VirtualHost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양쪽에서 서로 손발이 맞아야 해요.

    서로 다른 계정끼리 DB를 공유하면 캐시가 꼬여서 난리납니다. 뭐 잘못 지울까봐 손떨려서 테스트도 제대로 못 하고요. DB도 테스트 계정용으로 하나 더 만들고, 내용만 복사해서 쓰세요.

  • Lv37 Lv4

    물론 시놀로지에서도 해당 서브도메인을 인식하여, 운영중인 사이트가 아닌 테스트 계정으로 연결하도록 VirtualHost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양쪽에서 서로 손발이 맞아야 해요. <-- VirtualHost 설정 어렵군요. ㅎ

  • Lv3 Lv4

    image.png

     

    저는 dnszi를 사용중인데 A레코드를 보면 빈칸이 있는데 여기서 dev.todayplus.net 이런식으로 하면 되는건가요? 

    image.png

     

    우측에 x,o의 역할은 뭘까요?

  • Lv4 Lv37
    네, 그렇게 추가하시면 대략 10~20분 후부터 접속이 될 거예요. DDNS는 그냥 X로 두면 됩니다.
  • Lv37 Lv4

    image.png

    추가하니 원본사이트가 접속이 안되는데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요?

  • Lv4 Lv3
    웹 서버쪽의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한것 아닐까요?
    에러 로그를 봐야 할거 같습니다.
  • Lv3 Lv4

    웹스테이션으로 동일한 환경에서 만든 다른 홈페이지들은 다 멀쩡한데 서브도메인 만든 사이트만 안되는군요. 

     

    GET https://www.todayplus.net/ 500 (Internal Server Error)
    (index):20 
         
    GET https://www.todayplus.net/missing 500 (Internal Server Error)
    (anonymous) @ (index):20
    (anonymous) @ (index):20
    /favicon.ico:1 

     

    GET https://www.todayplus.net/favicon.ico 500 (Internal Server Error)

     

    파비콘 에러는 무시해도 되지만, 나머지 에러는 뭘까요?

     

    DB까지 문제생기진 않았겠죠?

    라이믹스를 덮어쓰기로 새로 설치하면 살아날까요?

  • Lv3 Lv4
    테스트 해보니 라이믹스의 문제인거 같네요.
    도메인을 라이믹스가 설치된 다른 폴더로 연결하니 작동됩니다.
    문제는 원본사이트를 만진적이 없었는데 이런 현상이 생기니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DB만이라도 살아있길 바랄 수밖에 없는데 어떻게 홈페이지를 살릴 수 있는 길이 없을까요?
  • Lv6
    위에서 다른분들이 잘 설명해주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