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접과 트래픽은 많은 상황, 운영 자금이 적다면, 자신이 홈페이지를 어느 서버에 두고 서비스 하는 것이 가성비 좋은가요?

(전세계 트래픽 기준, 한국 트래픽도 아주 약간 포함)

1. 아마존 클라우드 - 100% 의존

2. 구글 클라우드 - 100% 의존

3. 자체 서버 - HP 프로라이언트, Dell EMC

4. 자체 Nas - 시놀로지

5. 해외 호스팅 회사 VPS, Dedicated - 100% 의존

6. 해외 호스팅 회사 + 소형 CDN (cloud flare, bunny cdn,  fastly....)

6. 해외 호스팅 회사 + 대형 CDN (아마존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아카마이....)

 

만약 동접과 트래픽은 많은 상황, 운영 자금도 많다면, 자신이 홈페이지를 어느 서버에 두고 서비스 하는 것이 가성비 좋은가요?

(전세계 트래픽 기준, 한국 트래픽도 아주 약간 포함)

1. 아마존 클라우드 - 100% 의존

2. 구글 클라우드 - 100% 의존

3. 자체 서버 - HP 프로라이언트, Dell EMC

4. 자체 Nas - 시놀로지

5. 해외 호스팅 회사 VPS, Dedicated - 100% 의존

6. 해외 호스팅 회사 + 소형 CDN (cloud flare, bunny cdn,  fastly....)

6. 해외 호스팅 회사 + 대형 CDN (아마존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아카마이....)

  • ?

    ㅋㅋ 돈많으면 그냥 아마존이지 뭘 고민합니까? 사실상 업계표준이고 인력수급도 가장 쉬울텐데요
    그리고 자체서버는 아무리 돈없어도 웬만하면 선택할 꺼리가 못됩니다. 서버관리가 만만한게 아니에요.
    본인이 서버관리에 능력이 있고 사업범위가 본인의 캐퍼 안쪽이라면야 지금 당장의 비용면에선 가장 싸게 먹히겠지만... 본인이 직접 관리를 못하던가 사이트가 커지고 본인의 관리범위를 넘어서서 사람 써서 해야하면 비용이 갑자기 천정부지로 뛴다고 봐야죠. 서버비가 아무리 비싸도 인건비만 하겠습니까.
    보통 해외 스타트업들은 되려 좀 비싸도 아마존에서 시작하는거 같더군요. 왜냐면 아마존이 좀 비싸다고 해도 사이트 규모가 작으면 그래도 비용면에서 감당할만 하고 그대신 주는 편리함이 크기 때문이죠. 그러다가 사이트 규모가 커지면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되려 탈아마존을 하거나 직접 서버를 운영하거나 그렇게 되죠. 아니면 투자 잘 받아서 돈이 넉넉하면 그냥 아마존에 쭈욱 남아도 되는거고...

  • ? profile

    서버비가 비싸면 인건비보다 더 나올 수도 있지요. 그래서 스타트업들이 좀 성장하면 말씀하신 것처럼 탈아마존을 시도하는 거고요. 아마존이라고 각 인스턴스 내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니, 쓰다 보면 관리 부담이 생각만큼 적지 않습니다. 서버 그 자체보다는 각종 부가서비스 쪽에서 관리 부담을 덜어주는 편이지요.

    물론 스타트업들이 아마존이나 구글클라우드에서 시작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료 크레딧이지요! ㅎㅎ 어마어마하게 다양한 서비스에 모두 프리티어가 조금씩 제공되니...

  • profile ?

    1. 인건비가 필요로 하지 않는 구간
    2. 인건비가 서버비를 초월하는 구간
    3. 서버비가 인건비를 초월하는 구간
    이렇게 봤을때 1->2로 갈때 너무 극적으로 운영비용이 늘어나는데다가 2->3으로 가는게 쉽지가 않죠... 가장 비효율적인 구간을 딱히 쌩으로 견뎌낼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3구간은 3구간이 필요할만큼 사이트 규모가 늘어났을때 선택하면 되는거겠죠.

  • profile ?

    예.. 프리티어가 참 강력한 유인수단이죠.. 일단 프리티어에 맞춰서 개발하고 나면 딴데 옮기기 어려우니까 일단 비용이 감당할 수 없어질때까진 그냥 남는거 같더라구요. 글구 사실 비용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사이트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 그거 자체가 축복받은 상황이기도 하구요...

  • ? profile

    아마존 서버(즉, EC2)를 사용한다고 해서 인건비가 크게 줄어들리라고 예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제 댓글의 요점 중 하나였습니다. 만약 줄어든다면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부분을 그냥 방치하고 있다는 뜻이지요. 1년 넘게 보안패치를 하지 않은 인스턴스 수십 개가 누군가의 가상화폐를 대신 채굴해 주고 있다거나... 아마존의 과장광고 때문에 정말로 관리가 필요없는 줄 알고 방치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봅니다. 제대로 관리하려면 AWS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을 구해야 하니 인건비가 오히려 더 나올 수도 있고요. 어차피 관리 안 할 거라면 그냥 서버호스팅이나 타업체 가상서버에 보안패치 안 하고 스릴을 즐기는 편이 훨씬 쌉니다.

    전업 관리자가 필요하지 않은 규모의 서버를 매달 일정한 비용으로 위탁 관리해 주는 서비스를 런칭하여 나름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는 1인으로서, 2단계로 넘어갈 때 운영 비용이 극적으로 늘어난다는 데도 동의하기 어렵네요. 서버도 필요한 만큼 쪼개어 쓸 수 있는 세상에 관리 인력 역시 합리적으로 쪼개쓰지 못할 이유는 없잖아요? ㅎㅎ

  • profile ?
    기진곰님은 기본적으로 XE와 같은 규격화된 솔루션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상정하시는거고 저는 스타트업 기업처럼 기존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신규 개발하는 경우를 상정하기 때문에... 뭔가 핀트가 잘 안맞는 것 같습니다. XE처럼 규격화된 솔루션은 확실히 기진곰님같은 전문가가 혼자서 엄청난 숫자의 서버를 관리할 수 있으시겠지만.. 대개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서버관리라고 하면 개발과 아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기도 한터라...
  • ? profile

    그렇긴 하네요. 질문글 내용은 단순히 "서버호스팅 대체품으로서의 아마존"을 상정하는 것 같아서 저도 그쪽으로만 생각하고 다른 각도는 생각해 보지 않았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스타트업 기업들과 종종 교류하거나 자문을 하기도 합니다만, 사실 웬만큼 특화된 사업이 아닌 이상 서버단에서의 요구사항은 커뮤니티 사이트와 별 차이 없어 보였습니다. 그분들도 어디서 본 튜토리얼대로 EC2 몇 개 생성해서 node.js 돌리다가 관리 안돼서 터지고 뭐 그러더라구요. ㅎㅎ

  • profile

    첫번째: 6번 > 5번 >> 나머지

    두번째: 운영자금이 썩어난다면 1번 or 2번, 그렇지 않으면 5번 or 6번

    물론 가성비가 그렇다는 얘기고... 여러가지 따진다면 그냥 아마존으로 떡칠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6번이 2개씩이네요. ㅋㅋㅋ


    해외 서버호스팅에 클플 붙이면 월 100만원 내외에 XE 기준 동접 2~3만 명 가능합니다.

    합계 CPU 쓰레드수가 세자리로 넘어가는... 나스 따위로는 상상할 수 없는 사양으로 구성하게 됩니다.

    단, 이 가격대에서는 클플 ICN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한국에서의 접속 속도는 포기... OTL

     

    클플 대신 아마존이나 구글 CDN을 사용한다면 무조건 국내 엣지로 연결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가가 비싸니 트래픽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클플 엔터프라이즈 네고하는 것과 가격 비교가 필요합니다.

  • profile
    해외 서버호스팅에 클플 추천 드립니다....^^
  • profile
    해외호스팅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